비만, ‘병’으로 불러야 하는 이유

유병률 10년 만에 급증…박철영 대한비만학회 이사장 "질환 인식해야"

헬스케어입력 :2024/08/27 10:13    수정: 2024/08/27 13:02

비만을 ‘병’으로 인식하고 적극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1994년 비만이 개인적 문제가 아니라 인류에게 중요한 질병이라고 선언, 해결책으로 여러 권고를 제시한 바 있다. 문제는 우리사회에서 비만을 단순히 체형 및 개인의 문제로 간주한다는 점이다. 이런데다 비만병을 유발하는 환경이 늘어나면서 비만 유병률과 관련 질환 유병률도 함께 증가 중이다.

대한비만학회의 ‘2024 비만팩트시트’에 따르면, 2022년 비만유병율은 남자 49%, 여자 29.24% 등으로 나타났다. 2013년 남자 39.4%, 여자 27%와 비교해 비만유명률은 크게 증가했으며, 2022년 2단계 비만의 유병률은 1.6배, 3단계 비만유병률은 2.6배 늘었다. 성인 복부비만 유병률도 2022년 24.5%, 남자 31.3%, 여자 18.0% 등이었다. 최근 10년간 전체 성인의 복부비만 유병률도 지속적으로 늘어났다.

사진=픽사베이

비만은 만성질환뿐만 아니라 심뇌혈관질환과 암 등으로 인한 사망 위험도 높인다. 2형 당뇨병 위험은 정상 체중 대비 과체중 및 1단계 비만, 2단계 비만에서 각각 1.6배, 2.5배, 5배 높으며, 3단계 비만에서는 9배 이상 높았다.

모든 연령대에서 비만 단계가 높아질수록 만성 질환 위험도가 늘어났는데, 심근경색이나 허혈성뇌졸증 등 심뇌혈관 질환 위험이 20대~40대 젊은 연령에서 비만 단계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비만 단계와 암 사망 및 순환계통 사망 위험도는 U자형 관련성을 보였다. 정상체중보다 과체중 및 1단계 비만에서 0.7배 낮고 저체중 및 3단계 비만에서 각각 2배, 1.6배로 높았다.

체질량지수 35 이상인 3단계 비만은 정상 체중 대비 암 사망 및 순환계통 사망 위험이 각각 1.6배, 2.4배 높았다. 특히 젊은 연령인 20대에서 1·2·3단계 비만에 따른 순환계통 사망 위험은 정상체중 대비 각각 2·3배 및 18배 높았다.

모든 암 발생 위험은 20대 및 30대에서 비만 단계가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3단계 비만에서는 암 발생 위험은 ▲갑상선암 1.8배 ▲대장암 1.3배 ▲간암 2.2배 ▲신장암 3배 등이다. 유방암은 50대 이상에서 비만 단계가 증가할수록 발생 위험 증가가 두드러졌다.

사진=대한비만학회

최근 10년간 전체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2013년 23.3%에서 2022년 28.6%로 1.2배 증가했다. 10년간 노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2013년 53.0%에서 2022년 62.0%로 1.2배 증가했다. 남자에서 2013년 42.2%에서 2022년 55.3%로 1.3배 늘었다. 여자에서는 2013년 61.6%에서 67.4%로 1.1배 증가했다.

박철영 대한비만학회 이사장은 “비만은 이제 여러 가지 질병을 불러일으키는 하나의 질환, 즉 병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라며 “비만병은 개인의 의지만으로 조절되기 어렵고 치료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심각한 합병증들을 유발할 수 있는 만성질환”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비만은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세밀한 진찰과 평가, 그리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대한비만학회는 다음달 ‘비만병학’ 교과서를 출판할 예정이다. 책은 기초 과학을 포함한 비만의 다양한 측면에 관한 최신 정보를 포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