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유병률이 남자는 35세~39세에서, 여자는 70세~74세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비만학회는 국민건강보험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표본코호트 자료를 활용해 2018년~2019년 기간 동안 국가일반건강검진을 받은 성인을 분석했다. 이를 토대로 발간된 ‘숫자로 보는 비만 2024년 2호’에 따르면, 성인 비만 유병률은 증가하는 추세로, 연령이나 성별에 따라 다른 추이를 보였다.
성인의 1단계 비만은 체질량지수 25kg/㎡ 이상이다. 남성은 20대부터 연령 증가에 따라 비만 유병률도 증가하다가, 35세~39세에서 53.4%로 최대치를 찍었다. 이후 연령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
반면, 여성은 이삼십대에서는 20% 전후의 낮지만, 40대 이후 서서히 증가해 70세~74세 에서 44.6%로 가장 높은 비만 유병률을 보였다.
성인의 2단계 이상 비만은 체질량지수 30kg/㎡ 이상이다. 체질량지수 18.5kg/㎡ 미만이면 저체중으로, 2단계 이상 비만 유병률도 1단계 비만 유병률과 유사했다. 남자에서는 30세~34세에서 12.5%, 여자는 70세~74세에서 6.5%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렇지만 저체중의 경우, 남자는 80세 이상에서 5.5%, 여성은 20세~24세에서 13.4% 등으로 가장 비율이 높았다.
또한 만성질환 유병률은 연령 증가에 따라 함께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비만인 경우에는 2형 당뇨병·고혈압·고콜레스테롤혈증·지방간질환 등의 유병률이 모두 높았다. 세부적으로 보면, 2형 당뇨병과 고혈압 유병률은 비만군이 비비만군과 비교해 각각 평균 1.9배 높았다. 모두 50세~54세 연령에서 만성질환의 유병률 차이가 최대로 나타났다.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도 비만이 아닌 사람에 비해 비만인 경우 1.4배~1.5배 높았다. 성별과 상관없이 52세에서 가장 높은 유병률 차이를 보였다.
지방간질환은 비만 남자에서는 2.8배, 비만 여자에서는 8.4배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남자는 28세에서 비만군의 유병률은 77.6%였던 반면, 비비만군의 유병률은 13.8%였다. 여자는 80세 이상에서 비만군의 유병률은 67.7%, 비비만군은 11.1%로, 차이가 뚜렷했다.
관련기사
- 당뇨·비만 시장 싹쓸이 ‘노보 노디스크’ 본사에 가봤습니다2024.05.09
- 비만치료‧성장호르몬‧보툴리눔톡신 주사제 등 불법 표시‧광고 집중점검2024.04.15
- 과체중 회색지대 놓인 비만환자 관리 언제쯤2024.02.08
- 당신은 과체중입니까, 비만입니까2024.02.07
박철영 대한비만학회 이사장은 “효과적인 비만 치료는 비만 치료제의 적절한 사용과 함께 꾸준한 식이요법 및 운동 병행이다”라며 “최근 새로운 기전의 항비만 치료제들이 개발되고 있는 만큼 비만 치료의 급여 확대를 통해 체중 관리의 한계에 직면한 비만 환자들이 약물 치료 등 다양한 의학적 개입을 보다 적극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대한비만학회는 오는 9월 5일~7일까지 콘래드서울호텔에서 국제학술대회인 ICOMES 2024를 개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