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SaaS 기업을 어떻게 키워낼까

[2023 디미혁] SaaS 서밋 2023, NIPA 조성현 클라우드사업팀장

컴퓨팅입력 :2023/09/25 13:42    수정: 2023/09/26 16:19

"SaaS 생태계 육성은 장기적 투자와 지원이 필요한 문제다. 스타트업은 창업부터 성장까지 장기 투자를 해야 하며, 기존 소프트웨어 기업은 제2창업 수준의 투자를 해야 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클라우드 전담 기관은 국내 SaaS 시장에서 창업 기업과 기존 기업 두가지를 다 살펴보려 한다."

조성현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클라우드사업팀장은 25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3 대한민국 디지털 미래혁신대전 부대행사 '제2회 SaaS 서밋 2023' 컨퍼런스에서 정부의 'SaaS 중심 생태계 육성을 위한 지원뱡향'을 소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조성현 팀장은 "마이크로소프트나 어도비 같은 기업은 SaaS로 일찍 진출했고, 세일즈포스나 쇼피파이는 창업부터 SaaS로 시작해 그에 머무르지 않고, 초거대 AI를 접목해 혁신적인 서비스를 창출하고 있다"며 "글로벌 SaaS 시장은 723조8천억원 시장으로 2025년까지 성장할 것인데 비해 한국 SaaS 시장은 같은 기간 2조5천억원 정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조성현 NIPA 클라우드사업팀장

그는 "한국은 글로벌 시장에 비해 SaaS 전환이 더뎌서 국내 SW 시장의 21.8%에 불과하다"며 "그중 글로벌 기업의 점유율이 70%이며, 글로벌 IaaS 기반이 66.1%"라고 강조했다.

전세계적으로 소프트웨어의 이용 패러다임이 라이선스 구매 후 구축 및 설치형에서 서비스형으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미리 구축된 인프라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를 별도 설치 없이 구독기간동안 이용하는 것이다. 별도 구매와 설치를 하지 않아도 되고, 사간과 장소 제약없이 언제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전세계 SaaS 시장은 지난해 기준 452조원으로 추산되고 2025년 523조8처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세일즈포스, 줌, 어도비, 서비스나우 등의 기업이 SaaS 모델로 사업을 시작해 미국 시가 총액 100대 기업에 진입할 정도로 SaaS 시장이 활성화됐다. 연간 254조원 규모에 달하는 벤처캐피탈 투자의 45%가 SaaS 기업에 집중되며, 유니콘 기업 282개 중 180개 기업이 SaaS다.

반면 국내 소프트웨어 시장의 SaaS 전환은 더딘 편이다. 국내 SaaS 시장 규모는 작년 1조7천400억원으로 2025년 2조5천500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체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SaaS 비중은 21.8%에 불과하다.

조 팀장은 "미국 50대 SaaS 기업이 1억달러 달성을 성공하기까지 평균 9.9년이 필요하다"며 "기존 SW 기업의 SaaS 전환은 재설계, 재개발을 하면서 기존 구축형도 유지해야 해 제2의 창업 수준 투자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기존 기업은 구독형 전환으로 초기 매출 감소란 대스벨리를 겪는다"며 "매출이 일시 감소했다가 올라가는 구조라 이 구간을 어떻게 빠져나갈 것인가가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정부는 SaaS 생태계 육성을 위해 장기적 투자와 지원을 유지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정과제 'SaaS 중심 생태계 조성, 공공 부문 민간 클라우드 우선이용'에 따라 국내 SaaS 기업을 2026년까지 1만개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공급 기업의 SaaS 개발을 지원하고, 수용자의 SaaS 이용을 지원하며, 클라우드 인력 양성과 디지털 서비스 전문계약 제도, 정책 금융, 고성능 컴퓨팅9HPC) 지원 등 SaaS 활성화 기반 조성에 나선다.

유망 SaaS 개발 육성의 경우 스타트업, 소프트웨어 기업, 고도화, K클라우드 등의 기업을 지원하는데 올해 250억원 예산을 투입한다. 글로벌 SaaS 육성에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등과 협력해 올해 55억을 지원한다. 공공의 SaaS 이용을 지원하기 위해 클라우드 보안 인증과 디지털 서비스 이용 지원 시스템에 올해 80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중등 교육기관의 AI 디지털 교과서를 2025년 도입을 목표로 올해 40억원을 투입한다.

이용 기업 확대를 위해 중소기업 대상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료와 전환비용, 컨설팅 등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바우처 사업을 올해 129억5천만원을 투입해 진행한다. AI 바우처 사업에도 올해 700억원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공공부문의 민간 클라우드 활용 선도과제 발굴에 올해 33억원을 책정했다. 공공부문 민간 클라우드 도입 컨설팅에 올해 70억원을 투입한다.

활성화 기반 조성을 위해 권역별 4개 교육기관을 통해 중고급 인력 양성에 10억5천800만원 예산을 올해 투입할 계획이다. 행정 및 공공기관의 수의 계약 혹은 카탈로그 계약을 위한 디지털 서비스 전문계약 제도를 확립해 IT 용역 계약에 필요한 소요 기간을 기존 80일에서 1~2주로 줄인다는 계획이다. SaaS 기업 대상 대출 및 보증을 지원하는 정책금융으로 올해 1천억원을 금융위원회와 협의해 집행한다. HPC를 중소기업등 대상 기업에 지원하는데 올해 150억원 예산을 투입한다.

관련기사

조 팀장은 "과기정통부는 SaaS 전환을 국정과제로 삼았고, 공공부문에서 우선적으로 민간 클라우드르르 쓰게 하고 있으며, 디지털플랫폼정부도 국내 SaaS 기업 1만개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라며 "SaaS 기업의 솔루션 도입을 장려해 확산할 수 있게 돕고, 시장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컨퍼런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가 주최하고, KOSA 산하 'SaaS 추진협의회와 지디넷코리아 주관으로 열렸다. 행사는 25일부터 27일까지 서울 코엑스 A홀에서 열리는 지디넷코리아 주최 '대한민국 디지털 미래혁신대전 2023'과 함께 개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