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국내 부가통신 서비스 매출 238조...연간 19.6% 성장

부가통신 사업자 총 매출은 876조2천억원

방송/통신입력 :2023/06/09 11:09

지난해 국내 부가통신사업자의 서비스 매출이 238조1천억원으로 추정됐다. 이는 전년 대비 19.6% 늘어난 수치다. 사업자 총 매출은 876조2천억원으로 같은 기간 9.1% 증가한 것으로 추산됐다.

디지털 플랫폼 사업자의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 매출은 88조6천억원으로 전년대비 28.1%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부가통신 시장 현황을 파악하고 관련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반으로 이같은 내용의 부가통신사업의 시장 동향을 9일 발표했다.

과기정통부는 전기통신사업법 제34조의2에 따라 지난해부터 부가통신사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이번 실태조사는 지적사항의 개선을 위해 전문가 자문과 업계, 이해관계자 등의 의견수렴을 진행해 서비스 유형분류 세분화, 조사항목 개선 등을 거쳐 실시됐다.

기존 ▲인터넷 기반 서비스와 통신 인프라 2개 분류 ▲중개 플랫폼, 플랫폼 인프라, 온라인 직거래, 통신 인프라 등에 따라 조사했던 것을 이번 조사에서는 ▲디지털 서비스, 디지털 인프라 ▲커뮤니케이션, 콘텐츠, 앱마켓, 클라우드 등 10개 중분류 ▲SNS, 게임, 동영상, 전자상거래 등 35개 소분류로 세분화해 복잡하고 다양한 부가통신시장 현황을 파악하고자 했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이번 실태조사는 전체 부가통신사업자 1만6천547개 회사 가운데 자본금 1억원 이하 또는 휴폐업 사업자를 제외하고 5천520개 사를 모집단으로 선정해 지난해 10월부터 2개월간 서면, 문헌 방식으로 4천419개사가 조사됐다.

2021년을 기준으로 부가통신사업의 시장 구성은 대표서비스 기준 대분류 상 디지털 서비스가 3천689개(83.5%), 디지털 인프라가 730개(16.5%)로 나타났다. 중분류 기준으로 디지털 서비스 내에서는 전자상거래 등 재화 1천361개(30.8%), O2O 서비스 1천313개(29.7%), 검색 게임 등 콘텐츠 605개(13.7%) 순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인프라 내에서는 데이터 AI 247개(5.6%), 정보인프라 218개(4.9%), 클라우드 121개(2.7%) 순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플랫폼 사업자 시장 구성은 대분류 상 디지털 서비스가 1천358개(78.5%), 디지털 인프라가 371개(21.5%)로 전체 부가통신 기업 대비 디지털 인프라의 비중이 5.0% 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분류 기준으로 서비스 574개(33.2%), 재화 399개(23.1%), 데이터·AI 247개(14.3%), 콘텐츠 190개(11.0%) 순으로 조사됐다. 디지털 플랫폼 사업자 수는 서비스 유형분류 변경에 따라 총 부가통신사업자의 39.1%(1천729개사)로 파악됐다.

대표 서비스 기준으로 부가통신사업자의 서비스 제공 방식은 직거래(60.9%), 중개(37.2%), 둘 다 제공(2.0%)순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의 경우 중개(41.6%) 및 둘 다 제공(15.8%) 방식이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플랫폼 사업자의 경우, 대기업에서 중개와 직거래 둘 다 제공(27.6%) 방식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통신사업자의 온오프라인 주력분야 조사 결과 오프라인 기반 및 온라인 부수적 병행(52.9%), 온라인 기반 및 오프라인 부수적 병행(24.1%), 모든 서비스 온라인 제공(23.0%) 순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플랫폼 사업자의 경우 오프라인 기반 및 온라인 부수적 병행(40.7%), 모든 서비스 온라인 제공(32.4%), 온라인 기반 및 오프라인 부수적 병행(26.9%) 순으로 온라인 제공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부가통신사업자 전체의 대표서비스 기준 활성 이용자 수는 3개월 평균 대표서비스 기준으로 평균 77만2천명으로 조사됐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 161만명, 중견기업 48만8천명, 중소기업 27만9천명으로 대기업이 중견·중소기업에 비해 각각 3.3배, 5.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플랫폼의 활성 이용자 수는 평균 109만2천명으로 전체 부가통신사업자 대비 32만명, 1.41배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관련기사

부가통신사업자는 사업 추진과 관련하여 연구개발 인력확보, 자금조달, 통신인프라 비용 부담, 수익확보 순으로 애로사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지원 필요 영역은 자금지원 세제 혜택(42.2%), 전문인력 양성(30.1%), 기술개발 지원(28.7%) 순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실태조사 결과는 과기정통부, ICT대연합 홈페이지에 게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