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에 사는 임모(60)씨는 최근 날아온 관리비 고지서를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남편과 둘이 사는 아파트 관리비가 48만원이 나왔기 때문입니다. 임씨의 집 실내는 22도에 맞춰 있으며 자주 들어가지 않는 방은 보일러를 꺼 놓고 생활하며 겨울을 견뎌내고 있었습니다.
임씨는 "집에서도 패딩 점퍼를 입고 수면 양말을 신고 있는데 예상보다 온수 사용료와 난방비가 너무 많이 나왔다"면서 "주위에 물어보니 한 달 관리비가 90만원이 넘은 집도 있다더라"고 말했습니다.
가뜩이나 추운 날씨에 공공요금까지 치솟으면서 서민들의 겨울은 더 시리기만 합니다. 주위에서 "추위보다 앞으로 받게 될 관리비 고지서가 더 떨린다"는 하소연도 들립니다.
실제 올해 공공요금은 큰 폭으로 상승해 서민 삶을 옥죄고 있습니다. 5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5.2% 오르며 9개월 연속 5%를 웃도는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상승폭 또한 3개월 만에 확대됐습니다.
지난달 물가 상승의 주된 요인은 공공요금이었습니다. 실제 전기·가스·수도 요금은 1년 전보다 28.3% 급등하며 2010년 1월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상승 폭을 보였습니다. 전기·가스·수도의 물가 기여도는 0.94%포인트(p)로 물가 상승률의 약 5분의 1을 차지했습니다.
무엇보다 전기요금 상승률이 가팔랐습니다. 1월 전기요금은 지난해 같은 달 대비 29.5%나 급등했습니다. 전기요금 상승 폭은 2차 석유파동 여파가 있던 1981년 1월(36.6%) 이후 4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지난해 4월, 7월 10월에 이어 지난달에도 전기료가 대폭 인상된 탓입니다.
지난달 전기요금은 전 분기 대비 9.5% 오른 ㎾h(킬로와트시)당 13.1원으로 인상됐습니다. 이는 1980년 이후 최대 인상 폭입니다. 지난해 전기요금 인상폭(㎾h 당 19.3원)의 68%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여기에 도시가스와 지역 난방비도 1년 전보다 각각 36.2%, 34.0% 올랐습니다. 지역난방은 아파트 등 집단시설에서 사용되고는 합니다. 아파트 등에서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가스로 물을 데우기 때문에 지역 난방비는 도시가스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공공요금이 모두 1년 전보다 크게 오르면서 서민들의 어려움도 가중되는 모습입니다.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 사연을 보면 온수 사용을 줄이기 위해 샤워를 사흘에 한 번만 하기로 다짐한 글이 다수의 공감을 받았습니다.
난방비를 아끼기 위해 전기매트, 온풍기 등을 사용하려고 해도 '전기료 폭탄'이 무서워 '냉골같은 방'에서 외출복을 입고 버틴다는 인증 글도 포착됩니다. 발열 텐트 효과 등을 묻는 글들도 종종 눈에 띄었습니다.
정부는 고(高)물가를 잡기 위해 공공요금을 분산·이연하겠다고 밝히면서 지난 1분기 가스요금을 동결했습니다. 하지만 한국가스공사의 경영 적자 등을 고려했을 때 2분기 인상은 불가피한 듯 보입니다. 한국전력 또한 대규모 적자가 예상됨에 따라 전기요금을 추가로 올릴 가능성도 큽니다.
통계청 관계자는 "공공요금이 물가에 크게 작용하고 있는데 가스 요금도 올해 인상이 예정돼 있어 물가가 안정세로 접어들었다고 보기에는 어렵다"며 "하반기 기저효과가 사라지는 부분이 있어 상반기보다는 물가 상승률이 낮아질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관련기사
- "죽다 살았다"...'온라인 특가' 육회 먹고 식중독 소동2023.02.06
- 청보호 침실서 1명 숨진채 발견…8명 수색 계속2023.02.06
- "5대 합치면 억대"…아유미, '바이크 사랑' 남편과 갈등2023.02.06
- "집주인 대기업 다녀요"...역전세난이 부른 진풍경2023.02.05
이에 정부는 지자체를 향해 공공요금 인상 자제를 당부했습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3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최근 인상 논의가 있는 지방 공공요금은 최대한 안정되도록 지자체별로 개별 협의를 강화하겠다"며 "지자체 공공요금 안정 노력과 연계된 재정인센티브 배분에 있어 차등 폭을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제공=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