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최근 동국대(성정석 교수팀·장원희 교수팀) 연구진과 새로운 항균 펩타이드를 발굴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딥러닝 기반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은 AI 기반 예측 연구로 복잡한 실험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컴퓨터 예측을 통해 자생 거미 독샘에서 유래한 신규 항균 펩타이드를 발굴하는 데 성공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해 5월부터 4개 대학(상명대·동국대·강원대·호서대)과 추진 중인 ‘인공지능 기반 생물자원 활용 전문인력 양성 사업’에서 이번 신규 항균 펩타이드를 발굴하는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항균 실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섯 종 세균에 대해 펩타이드 서열만으로도 항균 기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다중 작업 학습’ 기반 항균 기능성 펩타이드 탐색 모델’을 개발했다.
또 학습된 모델을 이용해 자생 거미인 별늑대거미의 독샘 전사체로부터 두 가지 신규 항균 펩타이드를 발굴하고 실험으로 항균 기능성을 검증해 추후 의약품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거미 독에 존재하는 다양한 펩타이드는 세포 파괴와 신경 마비 등의 특성이 있어 제약·식품·화장품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기능성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다만 거미 독의 기능성 펩타이드 탐색 과정부터 개발까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관련기사
- 펩타이드 접근성 조절 시스템 개발...환자맞춤형 면역 치료 실마리2022.03.13
- AI 기술로 국제적 멸종위기종 판별한다2021.12.02
- 국립생물자원관, 캄보디아 야생식물에서 탈모 예방 효능 발견2022.10.05
- 생물자원관, 긴배흰끝마디고치벌 등 자생생물 467종 발견2022.09.28
AI 기반 예측 연구는 기존에 많은 시간과 비용 소비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고 자생생물에서 유래한 기능성 후보물질 개발 과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조가연 국립생물자원관 유용자원활용과장은 “인력양성사업을 통해 AI를 기반으로 생물자원 유래 신규 기능성 소재를 발굴하는 우수한 전문인력이 양성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