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OTT가 통합하면 넷플릭스를 이길 수 있을까

업계, 국산 OTT 경쟁력 강화에는 공감하나 통합에는 부정적

방송/통신입력 :2022/04/21 15:04    수정: 2022/04/22 14:32

넷플릭스·디즈니플러스 등 외산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가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국산 OTT를 통합해 이에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 나오고 있다. 

넷플릭스는 지난해 국내에서 171억원의 영업이익을 얻었다. 반면 국내 OTT들은 적자를 이어갔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민간 통합 OTT'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다. 큰 자본력을 가지고 있는 해외 OTT에 대응하기 위해선 국산 OTT들을 하나로 합쳐 규모를 키워야 한다는 논리 때문이다.

(사진=이미지투데이)

■ "OTT 통합? 실현 가능성 없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경쟁력 강화 필요성에는 동의하면서도 정치권의 OTT 통합 주장은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꼬집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OTT 플랫폼의 규모를 키워야 한다는 데는 동의한다. 하지만 정치권에서 나오는 이야기는 실현 가능성이 사실상 거의 없다. 각자 기업들이 만들어진 이유와 기업 규모가 다 다른데 어떻게 통합한다는 것인지 의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만약 통합한다고 해도 각 구성원이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 '사공 많은 배' 같은 상황이 되고 말 것"이라고 비판했다.

플랫폼 통합시 오히려 콘텐츠 경쟁력이 약화된다고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다른 관계자는 "통합을 한다면 자유로운 콘텐츠 제작 환경이 보장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개별적인 기업이라면 정해진 심의 내에서 콘텐츠 제작의 자유가 보장이 됐지만, 만약 통합 OTT라면 콘텐츠 적절성에 대해 지적하는 목소리가 나올 것"이라고 분석했다.

■ 콘텐츠 창작 환경 개선 필요

전문가들은 국산 OTT 콘텐츠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이를 위해 정책적으로 콘텐츠 창작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회적인 합의를 통해 콘텐츠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 연구위원은 "콘텐츠 자율등급제에 대한 필요성이 광범위하게 있지만 여전히 콘텐츠 심의가 오래 걸려서 사업자들이 불편을 느끼고 있다"며 "이것을 개선해야 한다는데는 정치권에서 이견이 없으므로 각 부처 간에 조정을 통해 고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종관 법무법인 세종 수석전문위원은 "콘텐츠 규제는 시장 논리나 산업 논리로만 설명되는 게 아니다"라며 "국민 정서 등 일종의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OTT 생태계

■ 국내 기업 역차별 없애고 지원 늘려야

전문가들은 국산 OTT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개별적인 플랫폼 역량을 키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창희 위원은 "많은 예산을 OTT 플랫폼에 지원해주는 게 가장 현실성 있는 대책이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지원금액 수준이 백억원 단위인데 1천억원 이상으로 올리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국내 OTT와 글로벌 OTT의 역차별 해소도 중요하다고 꼽았다.

노 위원은 "현재 글로벌 OTT 사업자들보다 국내 사업자들이 역차별받는 부분들이 있다. 글로벌 사업자들이 우회하는 부분들을 추적해 사례를 축적한 다음에 어떻게 조율할 수 있을지 얘기를 나누는 과정들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OTT 정책의 일관성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정책 예측 가능성을 높여서 업계의 혼란을 줄여줘야 한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이종관 위원은 "기업들에게 정책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여주는 게 가장 중요할 것 같다"며 "거버넌스나 정책적인 부분을 당장 바꾸는 게 아니더라도 시장이 예측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위원은 OTT 콘텐츠들에 대한 투자 환경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콘텐츠 제작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 세제 혜택 등의 정책이 단기적으로 필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