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가격이 상승하는 '카플레이션'이 우크라 사태로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완성차 업계는 수익성 우선 전략에 따라 저가차는 단종하고 고부가가치 차종 생산은 확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플레이션 장기화와 저가차 선택지 축소가 소비자 실질 구매력 감소는 물론 차 시장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1일 한국자동차연구원이 발표한 산업 동향에 따르면 각국 차 가격은 우크라 사태와 이로 인해 가중되는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 등으로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러시아산 네온(Ne)·팔라듐(Pd), 우크라이나산 와이어링 하네스 등 반도체 부품 공급망 불확실성이 카플레이션을 장기화시키고 있는 것. 대 러시아 경제제제에 따른 국제 유가 상승, 러시아 육상 운송 제한에 따른 물류비 증가도 차값 상승을 야기하는 원인으로 꼽힌다.
주요 완성차 제조사는 우크라 사태로 인한 카플레이션 장기화에 대응하고자 판매 대수 감소에 따른 실적 하락을 고부가가치 차종 생산 확대로 상쇄하려는 모양새다. 소형 세단, 해치백 등 대당 이익률이 낮은 차 생산은 줄이고 대형 SUV, 전기차 등 수익성이 높은 차종 비중은 늘리고 있다. 세계 차 시장을 선도하는 폭스바겐그룹도 소형차 '업'은 단종하고 ID 등 전기차 제품군은 확대한다.
관련기사
- LG전자, 자동차 텔레매틱스 부품 시장서 1위 탈환2022.04.08
- 쿠팡, 자동차용품 페어 개최...최대 30% 할인2022.04.05
- 자동차 보험료 10만원 가량 절약받는 법은?2022.03.28
- 자동차에 라면 국물 테러한 초등생…"공부 스트레스 때문"2022.03.25
이호중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전략본부 책임연구원은 "카플레이션 장기화와 주요 완성차 제조사의 고부가가치 차종 생산 집중은 한국을 포함한 각국 소비자 실질 구매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며 "공급과 수요의 간극 속에서 소비자는 신차 구매를 포기하거나 미루는 경향을 보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저가차 선택지가 줄어드는 가운데 특정세대·소득계층의 구매력이 급감하면 생계 수단으로서의 차에 대한 경제적 접근성 이슈가 제기될 수 있다"면서 "정부는 국민의 차 구매 여력 변화에 대응하고 관련 세제 전반을 재검토하는 한편, 차 생산 비용을 구조적으로 절감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해야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