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에 국내 첫 가스터빈 설치…산업부 발전 산업 경쟁력 강화

지난 2019년 독자 개발 성공…2023년부터 실증 착수

디지털경제입력 :2022/04/05 16:04    수정: 2022/04/05 18:15

발전용 가스터빈 불모지인 우리나라에도 발전용 가스터빈이 들어선다. 정부는 김포열병합발전소에 국내 최초로 발전용 가스터빈을 설치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서부발전 김포열병합 발전소 건설현장에서 '한국형 가스터빈 설치 착수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가스터빈 산업에서 우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지난 2013년 민·관 합동으로 발전용 가스터빈 기술개발에 착수한 바 있다. 이어 2019년에 세계에서 5번째로 발전용 가스터빈(H급: 터빈 효율 40%이상) 독자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에 설치되는 가스터빈은 2020년 1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두산에너빌리티 창원공장에서 전력계통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성능 실증을 수행했다. 김포열병합에 설치후 2023년 7월부터 2025년 7월까지 계통에 연결해 현장 실증을 진행할 계획이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 네 번째)이 5일 경기도 김포시 한국서부발전 김포건설본부에서 '김포열병합 한국형 가스터빈 설치 착수'를 기념하는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박형덕 서부발전 사장이 김포열병합발전소에서 열린 한국형 가스터빈 설치 착수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 공급된 발전용 가스터빈 161기는 전량 외산 제품에 의존하고 있다. 김포 열병합발전소에 설치되는 가스터빈은 발전 현장에서 가동되는 최초의 국산 가스터빈이 된다.

아울러, 정부는 무탄소 발전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올해 상반기 중으로 '수소·암모니아 발전 로드맵'를 발표할 계획이다.

LNG 가스터빈 기술은 무탄소 발전인 수소 터빈 기술의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관련기사

수소터빈 상용화에 성공해 수소경제 선도국가로의 도약을 추진한다는 게 산업부의 설명이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규제가 아닌 우리 산업의 경쟁력 강화가 중심이 돼야 한다"면서 "향후 실증 과정에서 민·관이 적극 협력하고 관련 경험을 축적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