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항원검사’로 코로나19 진단?…정확도 낮아 오미크론 탐지 의문 제기

자가검사키트로 양성 시 RT-PCR 검사…"환자 많아지면 PCR로 커버 안 돼"

헬스케어입력 :2022/01/07 12:17    수정: 2022/01/07 13:31

방역당국이 향후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의 국내 우세종 전환을 대비해 현 코로나19 진단검사 방식에 변화를 검토 중이다. 현재까지 확인된 내용은 RT-PCR을 기본으로 하되, 신속항원검사(자가검사키트)를 보완적 수단으로 병용하겠다는 것인데, 이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7일 오전 코로나19 중앙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진단검사의 우선순위를 정해 감염 가능성이 높은 국민들부터 PCR 검사법으로 신속하게 검사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말인즉슨 오미크론 변이의 빠른 전파 속도를 감안해 위험성이 높은 이들부터 진단검사를 하는 방식으로 검사의 효율성을 두겠다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코로나19 검사는 RT-PCR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다수의 확진자 발생 시 다량의 검사가 진행돼야 하는 만큼 검사 효율성을 위해 신속항원검사를 보완적으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관련해 이스라엘은 60세 이상과 기저질환자 등에 대해서만 PCR 검사를 실시하되, 밀접접촉자등은 항원검사를 실시 중이다. 

자가검사키트를 통한 검사 결과 모습. 대조선(C)와 시험선(T) 모두에서 선홍색 줄이 나오면 반드시 유전자 확진검사를 받아야 한다. 대조선에서 선홍색의 한 줄이 나타나더라도 의심 시 유전자 검사가 권고된다. (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문제는 신속항원검사가 오미크론 변이를 과연 제대로 탐지하느냐에 대해 이견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미 신속항원검사가 오미크론 변이의 양성 여부를 초기에 발견하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된 바 있다.

때문에 이날 오전 중대본 정례브리핑에서는 관련 언론 질의가 쇄도했다. 중대본 이기일 제1통제관은 “국내 오미크론 검출률은 8.8%인데, 델타 변이보다 2배~3배 빠른 전파력을 갖고 있다”며 “현재 (하루) 진단검사 역량은 75만 건 정도로, (오미크론 유행에 따라) 더 많은 환자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검사체계를 바꾸는 방안을 현재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RT-PCR을 기본으로 하고 신속항원검사는 보완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라며 “만약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면 다시 한 번 PCR 검사를 실시해 (오미크론 감염 여부를) 다 찾아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앞서 방역당국은 항원검사의 부정확도를 들어 확진용 검사로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이기일 제1통제관은 “가장 정확하고 확실한 검사는 RT-PCR”이라면서도 “환자가 많이 나오면 모든 환자 검체를 PCR로 검사하기가 어려울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본적으로 PCR로 검사를 진행하되, 환자가 대거 늘면 보완적으로 신속항원검사를 활용해 감염자를 찾아내자는 것”이라며 “신속항원검사에서 양성이 나오면 PCR 검사를 실시하는 방법을 적용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