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손 없는데 병상 확보 지시만…‘땜질처방’ 비판에 "인력 충원 아닌 재편" 해명

국립대병원, 일반병동 의료진까지 투입…"병상이 환자 돌보나" 비판도

헬스케어입력 :2021/12/21 14:21    수정: 2021/12/21 15:04

코로나19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 증가로 병상 부족이 심각해지자, 정부는 국립대병원을 중심으로 추가 병상 확보를 지시하고 있다. 의료현장에서는 인력 충원도 함께 요구하고 있지만, 방역당국은 “인력 충원이 아닌 재편”이란 해명을 내놓았다가 빈축을 샀다.

전날 문재인 대통령은 국립대병원 등 병상 등 의료역량을 코로나19 중증환자 진료에 집중할 것을 지시했다. 이에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보라매병원 등은 100개 가량의 중환자 병상을 추가 확보를 준비 중이다. 또 급하지 않은 수술은 미루고 일부 병동을 폐쇄해, 코로나 중환자실 등에 간호사 100명과 의사 40명을 배치한다는 방침도 밝혔다.

정부의 병상 확보 지시에 대해 “공공병원과 의료 인력의 확충 없이는 기존 공공병원과 인력을 좀 더 갈아 넣으라는 잔인한 주문”이라고 비판했다. (사진=김양균)

문제는 의료 인력이다. ‘의료민영화 저지와 무상의료 실현을 위한 운동본부(무상의료운동본부)’에 따르면, 국립대학교병원노동조합은 기획재정부에 3천753명의 충원을 요청했지만, 실제 승인된 인력은 929명이었다.

무상의료운동본부는 정부의 병상 확보 지시에 대해 “공공병원과 의료 인력의 확충 없이는 기존 공공병원과 인력을 좀 더 갈아 넣으라는 잔인한 주문”이라고 비판했다.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박향 방역총괄반장은 인력충원 방안에 대해 난색을 보였다.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5천여 명 정도의 별도 인력풀을 마련해서 지원해 주고 있다”면서도 “해당 인력들이 실제로 중환자실을 볼 만큼 여력이 있거나 경험이 풍부한 간호사들이 아닌 경우가 있다”고 지디넷코리아에 밝혔다.

박향 반장은 “일반병상까지 추가적으로 중증 병상을 확보하게 되면 일반병실에 있는 간호들도 더 많이 투입돼야 되고, 급하지 않은 수술을 미룰 수밖에 없다”며 “그렇지 않으면 새로운 인력을 가져올 수 없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중앙사고수습본부 박향 방역총괄반장 인력충원 방안에 대해 난색을 보였다. (사진=보건복지부)

아울러 “(의료인력 대책은) 인력에 대한 확충이라는 의미보단 인력에 대한 재편의 의미가 더 크다”고 말했다.

‘인력 재편’ 발언에 대해 보건의료노조 박민숙 부위원장은 “환자 돌봄은 병상만 확보한다고 이뤄지지 않는다”며 “코로나19 유행 2년이 지나도록 의료역량 확충 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