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이 10일 코로나19 전담치료병상 확보 행정명령을 발동한다.
정부는 전국 500병상 이상 700병상 미만 의료기관 28개소를 대상으로 중증 및 준중증 병상 241개를 추가 확보할 예정이다. 또 비수도권 내 200병상~299병상 의료기관 가운데 코로나19 치료병상을 운영하고 있지 않은 137개 병원을 대상으로 중증 환자의 전담치료병상 1천658개도 추가 확보하기로 했다.

목표 병상을 모두 확충 시 중증 전담병상은 158개가 증가한 1천413개, 준중증 전담병상은 83개가 증가한 746개, 중등증 전담병상은 1천658개가 증가한 1만3천852개로 늘어나게 된다.
관련기사
- 정재훈 교수 "백신‧치료제 불안, 인과성 평가 위한 감시체계 마련돼야”2021.12.09
- 코로나19 재택치료 관리 의료인프라 확충 및 이송체계 확대2021.12.08
- "윤석열이 파면됐다"...충격·안도·여운 감돈 서울역2025.04.04
- 尹 파면…외신들 "韓, 급한 불 껐지만 과제 산더미"2025.04.04
이처럼 정부가 추가 병상 확보에 나서고 있지만 확진자 및 위중증 환자 급증이 지속됨에 따라 일각에서는 체육관에 임시 병상을 만들거나 ‘모듈 병상’ 설치 필요성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정부는 “병상 효율화를 통해 의료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입장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이기일 제1통제관은 지난해 3차 유행 당시 조성한 평택 박애병원을 예로 들어 “병원 전체가 코로나19 전담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현재 있는 병상을 잘 활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