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 이하 접종하면 감염예방 96%·위중증 예방 100%

정은경 "청소년 접종 적극 참여해야"

헬스케어입력 :2021/12/09 14:18    수정: 2021/12/09 14:44

18세 이하 청소년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했을 시 감염예방 및 위중증 예방 효과는 각각 96%, 100%인 것으로 확인됐다. 방역당국은 이들에 대한 발생률이 성인보다 높은 만큼 예방접종의 적극 참여를 권고했다.

12세~17세의 예방접종 효과 분석 결과, 미접종군에서 코로나19 발생률은 ‘2차 접종완료군’에 비해 25.3배 높았다. 예방접종을 통한 감염예방효과는 96.1%로 나타났으며, 2차 접종군에서 위중증환자는 없어 위중증 예방효과는 100%였다.

중증예방효과는 미국의 사례에서도, 미접종군에서 입원율이 2차 접종완료군에 비해 10배 가량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접종률이 높은 고3의 경우, 인구 10만 명 당 발생률이 1·2차 접종 후 계속 감소해 다른 학년에 비해 낮은 발생률을 유지하고 있다. 16세~17세는 최근 접종 완료율이 60%대로 올라가면서 확진자 발생이 감소 중이다.

반면, 12세~15세는 상대적으로 접종률이 낮아 확진자가 계속 증가해 18세보다 발생률이 3배 높다. 중학교·초등학교 집단감염도 늘고 있다. 관련해 지난달 14일~27일 기간 동안 코로나19로 확진된 12~17세 총 3천320명 가운데 99.8%인 3천315명이 예방접종 미완료자였다.

현재 12세~17세 청소년의 1차접종자수는 약 139만 명이다. 인구 대비 50.2%가 1차접종을 마쳤다. 이 가운데 34.1%가 2차접종을 완료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접종이 시작된 16세~17세는 1차접종률은 72.8%, 2차접종률은 65.8%다.

12세~17세 접종에 사용되는 화이자 백신은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미국 식품의약국(FDA), 유럽 의약품안전청(EMA) 등 각국 규제기관에서 이미 청소년 접종의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인된 바 있다. 해외에서는 이미 12세~17세에 대한 접종이 상당부분 진행 중이다. 5일 기준 미국에서는 1천309만 명이 접종을 마쳤고, 영국은 239만 명이 접종을 완료했다.

0월 이후 연령별 일평균 코로나19 확진자 발생률 추이 (표=중앙방역대책본부)

관련해 최근 4주간 18세 이하의 10만명당 발생률은 210.1명으로 19세 이상 성인의 167.3명을 넘어섰다. 확진된 청소년의 약 17%가 의료기관에 입원했는데, 이 가운데 위중증환자 11명은 모두 미접종자로 확인됐다.

특히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 이후 청소년 확진자 발생이 계속 늘고 있다. 9월~11월 기간 동안 12세~17세 확진자 수 변화는 ▲9월 3천630명 ▲10월 4천837명 ▲11월 6천612명 등 두 달 새 두 배 가량 증가했다.

지난달 이후 하루 평균 12세~17세 확진자는 236.6명을 상회하고 있다. 12세~15세의 경우, 16세~17세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접종률이 낮아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은 증가하고 있다.

한림대의대 이재갑 교수는 “감염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후유증이 계속 늘고 있다”며 “다기관염증증후군이나 심근염 및 장기 염증으로 인해 치료기간도 길어지고, 상당히 고통스러운 시간들을 아이들이 보냈다는 데이터가 보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어 “아이들의 감염 숫자가 늘어나면 기저질환을 가진 아이들에게 전파가 될 수 있다”며 “ 이 경우 피해가 상당히 커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감염 시 아이들의 건강 문제뿐만 아니라 입원치료 부담과 격리로 인한 학습 손실이나 정신적인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며 “설사 자연감염 이후 면역이 생겨도 여러 합병증과 위중증이 백신으로 인한 이상반응보다 훨씬 더 심각해 청소년의 적극 접종을 권고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