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종합화학, 도시유전 사업에 2025년까지 5조 투자

SK지오센트릭으로 사명 변경…‘폐플라스틱 재활용 세계 최대 도시유전 기업’ 목표

디지털경제입력 :2021/08/31 10:48    수정: 2021/08/31 10:50

SK종합화학이 회사명을 ‘SK지오센트릭(SK geo centric)’으로 바꾸고 폐플라스틱 재활용을 주도하는 세계 최대 도시유전 기업 목표를 설정했다.

SK지오센트릭은 31일 나경수 사장 등 주요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브랜드 뉴 데이(Brand New Day)’를 갖고 제2창업에 준하는 새로운 출발을 선언했다.

SK지오센트릭은 1972년 대한민국 최초로 나프타 분해설비(NCC·Naphtha Cracking Center)를 가동하며 국내 석유화학 산업 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해온 SK종합화학이 ‘탄소에서 그린으로’ 완전한 변화 의지를 담아 새롭게 만든 사명이다.

나경수 SK종합화학 사장이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SK이노베이션 스토리 데이(Story Day)’에서 친환경 전략인 Green for Better Life의 구체적 실천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 ‘세계 최대 도시유전 기업’ 위상 확보

나경수 사장은 “SK지오센트릭의 파이낸셜 스토리 핵심 방향은 ‘지구를 중심에 둔 친환경 혁신’”이라며 “석유로부터 만들어진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다시 석유를 뽑아내는 ‘세계 최대 도시유전 기업’으로 성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나 사장은 “세계 최대 도시유전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1차 목표로 SK지오센트릭의 국내 플라스틱 생산량에 해당하는 연간 90만톤의 폐플라스틱을 처리할 설비 능력을 확보할 방침”이라며 “친환경 소재 확대 등 2025년까지 국내외에 약 5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2027년까지는 SK지오센트릭의 글로벌 플라스틱 생산량 100%에 해당하는 연간 250만톤을 직간접적으로 재활용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해마다 세계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폐플라스틱의 약 20%에 해당한다.

나 사장은 “2030년까지 재활용 플라스틱 시장 성장률은 12% 수준이며 2050년 600조원 규모 폐플라스틱 재활용 시장이 만들어진다는 점은 성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2025년에는 친환경 및 재활용 영역에서 기존 비즈니스를 상회하는 6천억원의 에비타(EBITDA·상각전영업이익)를 창출해 재무적으로도 완벽하게 그린 컴퍼니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경수 SK종합화학 사장

■ 플라스틱 재활용까지 고려한 순환경제 체제 구축

SK지오센트릭은 ▲차세대 재활용 기술 확보 ▲재활용 클러스터 구축 ▲3R 솔루션 개발 ▲친환경 소재 확대 및 친환경 원료 도입 등 플라스틱 생산부터 분리수거 후 재활용까지 플라스틱 순환경제 체제를 갖추기로 했다.

우선 차세대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확보를 위해 국내외 파트너와 양해각서(MOU)를 교환하는 등 사업 협력을 추진 중이며 열분해 후처리 기술은 자체 개발하고 있다. 특히, 오염된 단일재질과 복합재질 플라스틱까지 재활용 가능한 용매 추출, 해중합 및 열분해 등 화학적 재활용 기술을 보유한 해외 파트너와 기술 도입, 합작법인 설립, 지분투자 등 협업을 기반으로 국내외에 공장을 신증설해 나가기로 했다.

또 정부·지자체 및 기존 중소업체와의 상생 협력 등을 통해 폐플라스틱 수거·선별 단계부터 기계적·화학적 재활용 등 전 과정에 참여해 폴리에틸렌(PE)·폴리프로필렌(PP), 페트(PET), 복합소재를 모두 처리할 수 있는 재활용 클러스터를 구축하기로 했다.

SK지오센트릭은 ▲플라스틱 사용량 저감(Reduce) ▲친환경 소재로 대체(Replace) ▲재활용을 쉽게(Recycle) 하는 3R 솔루션(3R Solution)을 통해 고객의 친환경 니즈를 충족시키는 한편, 친환경 소재 및 원료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친환경 소재는 자동차 소재의 경우 경량화로 차량 연비를 개선하고 CO2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패키징 소재는 성능은 유지하면서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SK지오센트릭은 친환경 소재들의 생산능력을 연간 50만톤 수준에서 2025년 190만톤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한, 바이오 유분과 열분해유를 원료로 도입해 석유에서 나온 플라스틱 양을 줄여 나갈 계획이다.

■ 지구를 중심에 둔 비즈니스 모델 혁신, ‘SK지오센트릭’으로 사명 정해

나경수 사장은 “한국 최초 석유화학회사에서 세계 최고의 폐플라스틱 재활용에 기반한 도시유전 기업으로 탈바꿈해 플라스틱 순환경제와 친환경 확산을 완성하겠다는 의지를 담아 ‘SK지오센트릭’을 새로운 사명으로 채택했다”고 공식 선언했다.

SK지오센트릭CI

사명 변경은 2011년 SK이노베이션으로부터 SK종합화학(영문명: SK global chemical)이라는 별도 법인으로 분사한 뒤 10년 만이다. 사업모델부터 사명까지 ‘전면적인 딥체인지’를 한 셈이다. 새로운 사명은 9월 1일부터 공식적으로 사용된다.

관련기사

SK지오센트릭은 지구와 토양을 뜻하는 ‘geo’와 중심을 뜻하는 ‘centric’을 조합해 지구 환경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폐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강력한 의지를 표현했다. 이를 위해 모든 보유 역량과 기술을 집중해 지속 가능한 지구를 중심에 둔 순환경제의 선두 주자가 되겠다는 포부를 담았다.

나 사장은 “폐플라스틱 이슈는 가장 잘 아는 화학기업이 해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며 순환경제형 사업 모델은 SK지오센트릭의 파이낸셜 스토리에 가장 부합하는 방향이자 새로운 성장 방안”이라고 밝혔다. 나 사장은 이어 “ESG 경영 기반으로 폐플라스틱 순환경제와 친환경 확산을 주도하는 ‘세계 최대 도시유전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