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포스트 코로나 R&D 각축전…우리는?

국립감염병연구소, 예산 적고 인프라 구축 갈길 멀지만 국가 대응 첫 발 눈길

헬스케어입력 :2021/06/08 09:45    수정: 2021/06/08 10:16

코로나19 대유행 1년 만에 백신이 개발된 이래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한 전 세계가 백신·치료제 연구개발(R&D)이 한창이다. 우리나라도 개발전에 돌입한 상태다.

글로벌 코로나19 R&D 생태계에서 지난해와 올해 미국·독일은 두각을 나타냈다. 그 뒤를 영국·캐나다·중국이 바짝 뒤쫓고 있다. 이제 전 세계는 코로나19 이후를 준비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해 각국은 신변종 감염병 R&D에 막대한 금액을 투자하고 있다. (사진=픽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주요국 R&D 동향'에 따르면, 미국은 신종 감염병 바이러스 연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관련해 앤서니 파우치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모든 종류의 코로나바이러스에 효과적인 범용 백신 개발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바이든 행정부는 3월말 인프라・제조업・연구개발(R&D)・친환경 분야에 앞으로 8년간 2조2천억 달러(약 2천470조 원)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 국립보건연구원(NIH)는 범용코로나바이러스백신을 지원한다고 밝혔으며, 민주당은 이 프로젝트에 10억 달러 예산 편성을 위한 법안을 발의했다.

민간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빌&멜린다 게이츠 재단과 전염병대비혁신연합(CEPI)은 지난 3월 범용코로나바이러스백신 개발을 위해 2억 달러 지원 의사를 밝혔다.

영국도 매달 수백만 개의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할 수 있는 백신 및 유전자치료제 첨단 제조시설에 1억 파운드 이상 규모의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중국의 경우,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포스트 코로나 경제대책과 중장기성장의 기반정비를 포함한 ‘신기건(새로운 인프라건설)’ 투자 계획을 공개했다. 오는 2025년까지 민간 투자를 포함한 17조 위안이 투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도 코로나19 이후 신종 감염병 대응을 위한 국가 주도의 장기적 대응 역량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7일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한 제3차 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점검회의 당시 모습. (사진=청와대)

우리나라도 R&D 대열에 동참했다. 지난해 9월 출범한 ‘국립감염병연구소’는 신종 감염병을 대비한 국가 감염병 연구개발의 컨트롤타워다. 질병관리청은 연구소의 주요 역할로 ▲국가 감염병 전략 수립 ▲핵심기술 개발·실용화 ▲민관 협력 임상연계 ▲국제공조 등을 꼽았다.

연구소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신속개발 플랫폼 개발을 위해 한미 연구소 간의 국제공조 및 임상시험지원을 위한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국가병원체자원은행 등 인프라 구축에도 나서고 있다. 참고로 질병관리청의 국가 보건의료 R&D 예산은 총 352억 원이다. 

관련기사

주요 개발국 대비 금액은 턱없이 낮지만, 이제 막 장기적인 신종 감염병 대응의 첫 걸음을 뗐다는 데 의의가 있다.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4주년 특별연설에서 “인류 공통의 과제인 감염병과 기후변화 대응에 적극 참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제3차 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점검회의에서도 “진단키트·드라이브스루·마스크 맵 등 방역에서 보여준 우리의 창의성과 IT 기술은 최소잔여형 주사기·잔여 백신 앱 등 백신 접종에서도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다”며 감염병 대응을 위한 국가 역량 강화를 거듭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