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적인 반도체 품귀 여파로 인해 구형 8인치(200mm) 웨이퍼 팹 투자가 되살아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계가 반도체 부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로직반도체와 센서 등 200mm 웨이퍼 생산을 서두르면서다.
26일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가 발간한 '200mm 팹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0mm 팹 웨이퍼 생산량은 지난해부터 2024년까지 17% 확대되면서 약 660만장에 달할 전망이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하면 약 95만장 늘어나는 수치다. 200mm 팹 장비 투자액도 지난해 30억 달러를 넘어 올해 4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이같은 200m 팹 투자 성장세는 반도체 부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기업들의 노력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아짓 마노차 SEMI 최고경영자(CEO)는 "지난해부터 2024년까지 5G·사물인터넷(IoT)에 대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아날로그·전력반도체·모스펫(MOSFET)·마이크로컨트롤러(MCU)·센서 등을 생산하는 신규 200mm 팹이 22개가 추가될 것"이라고 했다.
보고서는 올해 50% 이상의 200mm 팹 생산량이 파운드리 산업에서 나올 것으로 봤다. 아날로그 반도체가 17%, 디스크리트·전력반도체가 10%로 뒤를 이을 전망이다.
관련기사
- [기고] 시스템 반도체, 2100년을 바라보자2021.05.18
- 삼성, DDR5 D램 모듈용 전력관리 반도체 출시2021.05.18
- 車반도체 공급난에…현대차·기아, 일부 생산라인 가동 중단2021.05.14
- 삼성·SK, 정부 'K-반도체 전략'에 '초격차'로 화답2021.05.13
지역별로는 중국이 전체 200mm 팹 생산량의 18% 점유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어 일본과 대만이 각각 16%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내년 200mm 팹 장비투자 규모도 30억 달러 이상을 유지할 전망이다. 이 중 절반은 파운드리 투자로 예상된다. 디스크리트·전력반도체는 21%, 아날로그 반도체는 17%,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과 센서 투자 비중은 7%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