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애 환경 장관, G7 기후·환경 장관회의 첫 참석

포용적 녹색회복 통한 탄소중립 필요성 등 강조

디지털경제입력 :2021/05/20 20:30

환경부는 한정애 장관이 20일 오후부터 이틀에 걸쳐 영상으로 개최되고 있는 주요 7개국 협의체 기후·환경 장관회의(G7 Climate and Environment Ministerial Meeting)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G7 기후·환경 장관회의에 환경부 장관이 참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리나라는 초청국 자격으로 호주·인도·남아프리카공화국과 함께 이번 회의에 참석했다.

회의에서 G7 협의체와 초청국 기후·환경 장관들은 탄소중립 실현과 생물다양성 보전, 인수공통감염병 대응, 해양환경 보존 등을 이틀간 논의한다.

이후 협의체는 ▲탄소중립과 그에 부합한 단기목표 설정을 통한 파리협정 이행 ▲2030년까지 생물다양성 손실 회복 ▲기후·환경 재원 증대에 대한 공동의 의지를 담은 장관선언문 발표 ▲기후 행동선언(Commitments to Action) ▲국제 인수공통감염병 전문가 공동체 ▲G7 협의체 해양 10개년 운영계획 부속문서 등을 채택한다.

의장국인 영국은 한국을 포함한 초청국들의 참여를 별도 의장문서(Presidency Statement)에 담기로 했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이 3월 16일 오후 한강홍수통제소에서 황룬치우 중국 생태환경부 장관과 화상회의로 만나, 미세먼지 대응 강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환경부

이번 회의에서 채택된 장관선언문의 주요내용은 다음달 11일부터 13일까지 열리는 G7 정상회의 정상선언문에 반영된다.

한정애 장관은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 손실이라는 두 가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포용적 녹색회복을 통한 탄소중립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한 G7 협의체를 포함한 전세계의 행동을 촉구했다.

한 장관은 "2050 탄소중립을 위해 올해 말까지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추가 상향해 국제연합(UN)에 제출할 것"이라며 이를 달성키 위한 탄소중립 시나리오 마련과 그에 기반한 재생에너지 전환, 수소차 확대 등의 정책 추진을 소개했다.

한 장관은 이어 육상·해양 보호구역 확대, 멸종위기종 복원, 인수공통감염병 관리 강화 등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사회 실현을 위한 우리나라의 행동을 전세계에 알렸다.

관련기사

한 장관은 "회의 결과물로의 장관선언문과 부속문서에 담긴 의지를 높이 평가한다"며 "한국은 주요 7개국 협의체와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달 30~31일 서울에서 개최되는 '2021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P4G)'가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포용적 녹색회복을 위한 연대를 재확인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탄소중립 추진이 혁신적 기술공유와 재정지원 방안 모색을 통해 선진국과 개도국이 협력하고, 전세계 국가들이 함께 참여하는 여정이 돼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