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한강홍수통제소 수열에너지 시설 준공

연간 냉·난방용량 50% 수열에너지로 대체

디지털경제입력 :2021/04/30 12:50    수정: 2021/04/30 16:57

환경부는 30일 오후 서울 서초구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수열에너지 시설 도입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부가 지난해부터 친환경 에너지 도입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사업이다.

준공식엔 홍정기 환경부 차관을 비롯해 박종인 ㈜맥엔드엠이씨 사장, 유경하 서전엔지니어링㈜ 사장, 조태목 ㈜삼삼설비 사장 등 수열에너지 시설 개발사 대표들이 참석했다.

한강홍수통제소의 수열에너지 시설 도입은 정부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3곳의 시범사업 중 처음 완료한 것이다. 연간 냉·난방용량 200냉동톤(RT) 중 100RT(50%)이 수열에너지로 대체된다.

3곳의 수열에너지 시범사업은 한강홍수통제소(광역원수 활용), 한강물환경연구소(북한강 활용), 인천 종합환경연구단지(아라천 활용) 등이다. 지난해 6월 국무회의에서 수립한 '친환경 수열에너지 활성화 후속 조치'에 따라 추진되는 것이다.

한강홍수통제소 수열에너지 시설 준공을 시작으로 한강물환경연구소(6월), 인천 종합환경연구단지(내년) 내 시설도 순차적으로 준공된다.

홍정기 환경부 차관(왼쪽에서 세 번째)이 30일 오후 서울 서초구 한강홍수통제소 수열에너지 도입 준공식에 참석해 내·외빈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환경부
수열에너지 공급 모식도. 자료=환경부

3곳의 시범사업이 완료되면 총 2천160냉동톤의 수열에너지가 도입될 전망이다. 1시간 동안 선풍기 22만대를 운영할 수 있는 규모이다. 아울러 이산화탄소 1천841톤을 감축하는 효과도 얻는다.

환경부는 수열에너지 도입 활성화를 위해 소양강댐 용수를 활용한 강원 수열에너지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도 추진 중이다.

강원 수열에너지 융복합 클러스터는 환경부·강원도·한국수자원공사가 2027년까지 3천27억원을 투자해 수열에너지 1만6천500RT를 도입하는 사업이다. 현재 국내 최대규모인 롯데월드타워(3천RT)의 5배가 넘는 규모다.

관련기사

정부는 이곳에 정보통신(IT) 산업의 발달과 함께 급성장하는 데이터센터 집적단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전력소모가 심한 데이터센터의 냉·난방 전기사용량 약 70%를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환경부는 내다봤다.

홍정기 환경부 차관은 "수열에너지 확산을 위해 물이용부담금 면제, 하천수 사용료 현실화 등 제도적 노력을 지속해왔다"며 "한강홍수통제소 수열시설 도입을 계기로 물 분야 탄소중립에 박차를 가하겠다. 내년부터 민간 영역의 수열에너지 도입사업 추진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