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로봇 도입 확산'...시장 활성화 기대감

전국 9개 지자체 복지 로봇도입...정부 올해 R&D 및 보급에 2170억 투입

디지털경제입력 :2021/04/30 11:44    수정: 2021/05/03 09:37

지난해 개최된 로보월드에서 한 시민이 자율주행로봇과 눈을 맞추고 있다.(사진=한국로봇산업협회)
지난해 개최된 로보월드에서 한 시민이 자율주행로봇과 눈을 맞추고 있다.(사진=한국로봇산업협회)

전국 지자체들이 복지와 사회적 약자들을 돌보는 각종 행정 서비스를 위해 로봇 도입에 적극 나서면서 관련 시장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산업용 로봇과 서비스 로봇을 모두 총괄한 국내 로봇 시장 규모는 지난 2018년 5조 7천억원 규모였다. 지난해 기준 시장 규모는 소폭 성장하는 데 그친 5조 8천억원으로 추산된다.

성장세가 둔화된 원인으로는 코로나19 등 산업계 전반에 불어닥친 악재들로 인해 로봇 시장 역시 자유롭지 못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과거 기업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로봇 산업에 지자체도 뛰어들면서 이른바 B2G 시장이 열리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서울 구로구는 지난 2019년 노인들의 규칙적인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돌봄 로봇을 전국 지자체 최초로 도입했다. 이후 서울 관내 6개 구가 (강남구, 강동구, 관악구, 양천구, 중랑구,서초구)가 복지용 로봇 도입에 가세했고, 지방 광역 지차체로도 확산되고 있다.

인천 서구와 동구는 각각 어린이와 노인들에게 AI 로봇 지역돌봄 시스템 구축과 서로e음 돌봄로봇을 도입했다. 또한, 강원도 원주시도 지난해 노인 및 장애인 시설에 ‘돌봄·교육 로봇’을 배치했다.

뿐만 아니라 중앙정부도 로봇 상용화를 위한 규제를 정비하고 정책·자금 지원을 약속하는 등 국내 로봇 시장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양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2025년까지 글로벌 로봇 4대 강국을 목표로 '2021년 지능형 로봇 실행계획'과 '2021년 로봇산업 선제적 규제혁신 로드맵 실행계획'을 지난 29일 심의·의결했다.

이날 발표된 실행계획에는 올해 서비스로봇의 연구개발(R&D)과 보급에 2천여억원을 투자하고, 연내 규제혁신 과제 해결 등이 담겼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제조 및 서비스로봇의 연구개발과 보급에 1년 전보다 54% 늘어난 2천170억원을 투자해 감염병 확산, 물류량 급증 등 문제 해결에 나선다. 1천700대 이상의 로봇 보급도 추진할 것이라 밝혔다.

이에 따라 B2B 시장만으로는 수요창출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국내 로봇 시장에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뛰어들면서 국내 시장 규모가 확대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고조된다.

관련기사

한국로봇산업협회 이경준 본부장은 "최근 지자체나 중앙정부도 노인,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를 케어하는 로봇 도입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복지용 로봇 도입은 로봇에 대해 생소한 대중, 기업들로 하여금 로봇을 친숙하게 느끼게 될 수 있는 홍보효과가 있다"면서 "이 같은 현상은 궁극적으로 국내 로봇 시장을 확대하는 기폭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