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올해 로봇 연구개발·보급에 2170억 투입

‘2021 지능형 로봇 실행계획’ 및 ‘2021 로봇산업 선제적 규제혁신 로드맵 실행계획’ 발표

디지털경제입력 :2021/04/29 15:55    수정: 2021/04/29 16:03

정부가 올해 제조 및 서비스로봇 연구개발·보급에 2천170억원을 투자한다. 또 기술발전과 상용화 단계를 예측해 33건의 규제혁신 과제 발굴, 단계별로 규제를 개선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로봇산업정책심의회(서면 개최)를 열어 로봇을 활용한 신시장 창출을 지원하기 위한 ‘2021년 지능형 로봇 실행계획’과 규제의 선제적 해소를 위한 ‘2021년 로봇산업 선제적 규제혁신 로드맵 실행계획’을 심의·의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정세균 국무총리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구자열 한국무역협회장 등 참석자들이 지난 3월 1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별마당도서관에서 열린 CES 2021 혁신상 수상 제품전에서 자율주행 방역로봇 '코로봇'을 살펴보고 있다.(사진=뉴시스)

2021년 로봇산업 선제적 규제혁신 로드맵 실행계획은 29일 열린 ‘제3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2021년 제2차 혁신성장전략회의’에도 상정, 보고됐다.

정부는 이번 방안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급증한 로봇 수요를 고려해 로봇 투자와 지원을 대폭 강화하고 규제혁신을 로드맵에 따라 차질없이 추진할 계획이다.

제조 및 서비스로봇의 연구개발 및 보급에 전년대비 54% 증가한 2천170억원을 투자해 감염병 확산, 물류량 급증 등에 따른 사회문제 해결 중심의 연구개발에 착수하고 1천700대 이상의 로봇을 보급한다.

지난해 수립한 로봇산업 규제혁신 로드맵 33건의 과제 가운데 1단계 과제 9건은 애초 목표대로 2022년까지 규제개선을 추진하되 로봇의 승강기 탑승 등 4건은 연내 조기 완료할 예정이다.

■ 2021년 지능형 로봇 실행계획

제조분야에서 제조 현장의 디지털화를 위해 로봇활용 표준공정모델 개발·보급을 확대하고 민간중심의 보급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로봇활용 표준공정모델을 기존 뿌리·섬유·식음료 분야 외에 항공·조선·화학·바이오 산업분야로 확대하고 공동구매, 렌탈 등 다양한 민간중심 보급확산기반 구축한다.

서비스분야에서 물류, 돌봄, 의료, 웨어러블 등 4대 유망 서비스와 비대면 서비스분야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서비스 로봇개발과 보급을 추진한다.

인천국제공항에서 현재 시범 서비스 중인 LG전자 안내로봇

물류 상하차 로봇, 감염병 의료 폐기물처리 로봇 등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로봇을 개발하고 물류(200대), 돌봄(1천200대), 웨어러블(100대), 의료(12대) 등의 분야에 1천500대 이상의 서비스로봇을 보급할 계획이다.

쇼핑몰 등 국민생활과 밀접한 거점을 대상으로 안내·물류·순찰·청소·이동지원 로봇 등 다종·다수의 로봇을 활용한 서비스로봇 융합 실증도 추진한다.

로봇산업 생태계 강화를 위해 핵심부품 개발을 통해 로봇산업 기반을 확고히 하고 인프라 구축과 연계해 로봇산업 생태계를 조성한다.

스마트 그리퍼, 지능형 제어기 등 핵심부품 개발을 추진하고 로봇 제조사와 부품사 간 국산 부품 실증과 활용을 지원하는 한편, 숙련작업자의 노하우를 디지털화해 일반기계를 로봇화하는 기반을 마련하고 협동 로봇의 안전 인증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착수할 계획이다.

■2021년 로봇산업 선제적 규제혁신 로드맵 실행계획

국무총리실 주도로 유망 신산업 분야에 대한 ‘선제적 규제혁신 로드맵’ 구축의 하나로 지난해 10월 ‘로봇산업 선제적 규제혁신 로드맵’을 수립했다.

기술발전과 상용화 단계를 예측해 33건의 규제혁신 과제 발굴, 단계별로 규제를 개선하기로 했다.

1단계 과제 9건은 목표대로 2022년까지, 2단계 과제 15건은 2025년까지, 3단계 과제 9건은 2026년 이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2~3단계 24개 과제는 로드맵 계획에 따라 연내 실증 및 조사연구 등을 통해 목표 연도까지 정상 추진한다.

자율주행로봇 전문업체 트위니가 로보월드에서 실내 자율주행 로봇을 선보였다.

1단계 9개 과제 가운데 협동로봇(고정형), 실내배달로봇, 수중청소로봇, 개인정보 등 4개는 올해까지 조기에 완료하고 실외 배달로봇(도시공원 통행을 위한 무게 제한 완화), 주차로봇(기계식 주차장에 적용을 위한 안전기준 마련), 전기차 충전로봇(안전기준 마련) 등 5개는 내년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2~3단계 규제혁신 과제인 건설, 농업, 돌봄·재활, 재난·안전 로봇 등 24건은 로드맵에 따라 올해 안에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 조사연구 등을 통해 효과성, 안전성 검증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로봇과 같은 신산업은 기술 발전속도가 빨라 속도감 있는 정책추진이 필요하다”며 “로봇을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 산업이 활성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모델 실증을 지원하고, 규제개선도 적시에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