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기반 초정밀 소방관제 플랫폼 운영된다

행정안전부-제주, '실시간 소방관제 통합 플랫폼’ 서비스 공개

컴퓨팅입력 :2021/03/17 14:29    수정: 2021/03/17 15:10

급박한 응급상황에서 데이터에 기반한 초정밀 소방관제를 운영하는 플랫폼이 지방자치단체와 소방서, 기업의 협업으로 탄생했다. 긴급출동 차량의 최적 경로를 안내하고,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필요 인력과 장비를 적기적소에 지원하는 등 한차원 높은 소방관제가 가능해진다.

행정안전부는 18일 제주특별자치도 소방안전본부 119종합상황실에서 ‘데이터 기반 초정밀 실시간 소방관제 통합 플랫폼’ 시연회를 개최하고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17일 밝혔다.

데이터 기반 초정밀 실시간 소방관제 통합 플랫폼 사업은 민·관 협업으로 ‘초정밀 위치정보’라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구조 최적 시간을 확보하고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사업이다. 위치 정보의 1초당 오차범위가 20m에서 0.1m로 대폭 줄었다. 이 사업은 지난해 행정안전부의‘2020 지방자치단체 협업 특별교부세 지원사업’ 대상으로 선정됐다.

새 플랫폼은 긴급출동 차량의 정보를 재난 신고자에게 안내해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한다.

행안부는 지자체와 민간·공공기관 간 협업으로 더욱 높은 수준의 주민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원사업을 진행했으며, 작년 공모를 통해 선정된 4개 협업사업에 10억 원의 특별교부세를 지원했다.

이번 사업으로, 긴급출동 차량의 움직임의 실시간 관제를 통한 최적 경로 안내가 가능해지며, 이를 통해 출동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재난을 당한 신고자에게 긴급출동 차량의 실시간 이동정보와 도착 예정 시간을 안내해 신고자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소방안전본부 긴급출동 차량 140여 대의 실시간 위치정보와 현장 영상을 출동대·현장지휘관·작전지휘관·119상황실 등이 실시간으로 공유해 출동단계에서부터 체계적인 현장 지휘도 가능하게 된다.

여기에 실시간 상황 모니터링으로 필요한 추가 인력이나 장비 등을 즉각 지원해 더 신속하고 정확한 재난 사고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플랫폼 구축 이후 긴급출동 차량 등 인력·장비의 실시간 위치정보 공유가 가능해진다.

나아가, 응급환자 발생 시 소방구급차 단말기를 통해 인근 병원들의 실시간 병상 정보를 확인하고,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장비나 의료진 등을 갖추고 있는 병원을 파악하여 응급환자를 신속히 이송할 수 있게 된다.

플랫폼 구축 이후 병상, 치료 장비 등 병원 정보 실시간 파악이 가능해진다.

한창섭 행정안전부 정부혁신조직실장은 “지자체와 소방서, 그리고 민간기업이 협업하여 ‘초정밀 위치정보’ 등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지키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이처럼 기관 간 칸막이를 허물고 주민이 필요한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찾아 제공하는 협업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