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헌 금감원장, '인사 후폭풍' 일파만파…거취 불투명

금감원 노조, "'인사 참사' 책임져야"…윤 원장에 '자진 사퇴' 촉구

금융입력 :2021/03/08 18:04    수정: 2021/03/09 08:46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임기 만료를 2개월여 앞두고 대형 악재를 맞았다. 채용비리 연루자를 승진시킨 데 따른 노동조합과의 갈등이 그의 거취를 둘러싼 논쟁으로 번지면서다.

특히 금감원 노조는 이번 인사 사태의 최종 책임자로 윤석헌 원장을 지목하며 자진 사퇴를 촉구하는 한편, 법적 대응도 불사하겠다는 방침이어서 진통이 예상된다.

8일 금감원 노조는 이날 공식 입장자료를 통해 "역대 최악이라 평가받는 이번 인사가 많은 문제를 노출했다"면서 "채용비리 가담자에 대한 무리한 승진, 핵심부서 6년 연속 근무, 노골적 라인 만들기, 2~3년 주기 순환배치 원칙 무시 등 수많은 반칙이 '공정인사'로 포장됐다"고 비판했다.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사진=뉴스1)

그러면서 "이번 인사문제를 시리즈로 지적할 예정"이라며 윤석헌 금감원장을 향한 강도 높은 압박을 예고하기도 했다.

이는 금감원이 지난달 정기인사에서 과거 채용비리에 연루된 A팀장과 B수석조사역을 각각 부국장과 팀장으로 이동한 데 따른 행보다. 실제 A씨의 경우 지난 2014년 모 국회의원 아들에게 특혜를 줘 '견책' 징계를, B씨는 2016년 수출입은행 부행장 아들의 합격을 도와 '정직' 징계를 받았다.

이에 대해 금감원 노조는 이번 인사로 감독당국의 독립성이 크게 훼손됐다고 지적했다. 또 채용비리 여파로 상여금이 깎이고, 일부는 승급이 제한되는 등 금감원 전반이 고통을 분담하는 가운데 당사자가 승진자 명단에 올라 내부의 상실감이 크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금감원 노조는 지난 3일에도 기자회견을 통해 윤석헌 원장에게 이틀 뒤까지 거취에 대한 입장을 밝힐 것을 요구했다.

이에 윤석헌 원장은 최종 시한인 5일 노조와 면담을 가졌지만 합의엔 이르지 못했다. 당시 윤 원장이 국장급 이하 인사는 실무자에게 맡겼다는 취지로 언급한 데 이어 "사퇴는 인사권자의 뜻"이라며 사실상 자진 사퇴를 거부한 탓이다.

노조 관계자는 "노조가 인사 전부터 채용비리 연루자를 승진시키지 말라고 경고해왔음에도, 윤 원장은 이번 정기인사가 내규상 문제없다는 뜻을 고수했다"며 "잘못한 사람은 따로 있는데 왜 다른 직원이 피해를 봐야하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금감원 노조의 이 같은 강경 대응은 상당히 이례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간 이들이 예산과 특별사법경찰 운영 등을 비롯한 금융위원회와의 갈등 국면에서 윤 원장을 공개적으로 지지하며 한 목소리를 내온 바 있어서다.

관련기사

이번 사태로 윤석헌 원장의 거취가 불투명해졌다는 관측도 흘러나온다. 당초 일각에선 윤 원장의 연임 가능성에도 눈을 떼지 않았으나, 인사 실패를 놓고 내부에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는 만큼 임기를 이어가긴 어렵지 않겠냐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노조 관계자는 "인사 실패에 대한 금감원 차원의 공개 사과와 윤석헌 원장의 연임 포기 선언을 촉구한다"면서 "인사 참사를 풀어내는 것은 새 원장의 몫"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