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AI 논문' 인용건수 美 사상 첫 추월

스탠퍼드대 'AI인덱스' 보고서…학술지 논문 비중도 중국이 1위

컴퓨팅입력 :2021/03/08 13:24    수정: 2021/03/08 13:35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 기자 페이지 구독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중국이 지난 해 인공지능(AI) 분야 논문 인용 건수 면에서 미국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 AI관련 박사 학위 취득자들이 관련 업계로 진출하는 비율이 크게 늘어났다. 

벤처비트는 7일(현지시간) 스탠퍼드대학이 발간한 ‘2021 AI 인덱스’ 보고서를 토대로 이 같이 보도했다.

올해로 4번째 발간되는 ‘AI 인덱스’ 보고서는 AI기술이 교육, 스타트업, 정부 정책 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이 보고서에서는 딥러닝, 이미지 인식, 객체 탐지 등 주요 AI 하위기술 분야의 성과를 자세하게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해 AI 학술지 논문 점유율 1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미국이 12.3%로 그 뒤를 이었으며, 유럽연합(EU)은 8.6%에 불과했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AI 저널의 논문 인용 비율이다. 여기서도 중국은 20.7%를 기록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미국(19.8%)을 넘어섰다. EU의 논문 인용 비율은 11%였다.

반면 컨퍼런스 논문 발표 부문에선 미국(19.4%)이 중국(15.2%)을 앞섰다. 미국은 또 컨퍼런스 발표 논문의 인용도 40.1%를 기록, 중국(11.8%)을 큰 차이로 따돌렸다.

지역별 AI논문 인용 건수 비교

이번 보고서에선 또 2016년부터 2020년까지 AI 채용이 가장 활발했던 나라는 브라질, 인도, 캐나다, 싱가포르, 남아프리카 등이었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AI 관련 박사 학위를 받은 사람이 기업에 취직하는 비율도 크게 늘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미 지역 AI 박사 학위 소지자 3명 중 2명은 기업에 취직했다. 이는 2010년 44%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이다.

또 지난 해 코로나19 여파로 AI 컨퍼런스가 비대면 방식으로 바뀌면서 참가자는 오히려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sini@zd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