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소스는 혁신을 주도하는 가장 강력한 동력으로 점점 오픈소스에 의존하는 비율이 높아질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오픈소스 기여도는 0.65% 수준이다. 우리나라 경제 규모가 세계 7위인데 (오픈소스 기여도도) 이에 걸맞는 수준으로 올라와야 우리나라 기업들이 오픈소스를 활용해 혁신하는 수준이 높아졌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민석 이노베이션아카데미 학장은 4일 온라인으로 열린 '개방형 플랫폼 파스타 신규버전 공개 세미나'에서 우리나라 기업, 연구소,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오픈소스 활동 및 지원을 당부하며 이같이 말했다.
산업 전반에서 오픈소스에 의존하는 비율은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지난해 시놉시스가 발표한 OSSRA 보고서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인프라, 핀테크, IoT, 통신, 보안, 유통 등 전 산업에서 코드베이스로 오픈소스를 활용하는 비율은 46%~83%로 나타났다.
이 학장은 "(내부 서비스의)코드베이스뿐 아니라, 외부에 서비스까지 따지면 훨씬 더 높은 오픈소스 사용률을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오픈소스는 30년 전 '개방과 공유'라는 사상을 따르는 개발자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시작됐지만, 최근에는 기업 주도의 오픈소스 프로젝트도 많아졌다. 자금력을 갖춘 기업들이 참여하면서 오픈소스 생태계 발전이 가속화된 측면도 분명 있다.
몽고DB, 엘라스틱 같은 스타트업부터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 IBM과 레드햇 같은 대형업체까지 다양한 규모의 회사가 오픈소스 생태계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이런 회사들은 왜 소스코드를 공개하고 누구나 쓸 수 있게 하는 것일까? 이 학장은 이 같은 물음에 대한 명확한 대답은 "당연히 돈이 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오픈소스가 혁신 부품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제 수익성이 담보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오픈소스 전문기업은 오픈소스 버전과 상용버전을 나눠 사업화에 성공한 경우가 많다. 클라우드 기업들의 경우 오픈소스 기술을 플랫폼에서 제공하면서, 추가적으로 유료 매니지드(관리형) 서비스를 함께 판매하는 방식으로 수익을 내고 있다. 또, 간접적으로 기업이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면서 표준이나 기술 개발 방향을 자사 비즈니스에 유리하게 이끌기도 한다.
오픈소스에 동참하는 기업이 크게 늘어났다는 사실은 오픈소스 개발자 중 보수를 받는 비율을 살펴보면 더 뚜렷하게 드러난다.
리눅스파운데이션 2020년 조사에 따르면 보수를 받는 오픈소스 개발자는 51.65%로, 이미 무보수 개발자 보다 많아졌다.
이 학장은 "이전까지 개발자들이 오픈소스에 기여하는 이유를 보면 재미와 명성이 많았지만, 점점 직업으로 오픈소스 개발을 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보수를 받고 일하는 오픈소스 개발자 비율이 90%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이미 많은 기업들이 회사의 이익을 위해 개발자를 고용해 오픈소스에 기여하는 게 IT 산업 트렌드로 자리잡았지만, 우리나라에서 오픈소스 기여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낮은 편이다.
대표적인 오픈소스 코드 저장소 깃허브가 공개한 지난해 전 세계 기여자 분포도를 보면 우리나라는 0.65%에 불과하다. 다른 국가의 기여도를 보면 ▲중국 17.9% ▲인도 17.5% ▲미국 4.2% ▲브라질 2.71% ▲나이지리아 2.63% 등이 눈에 띈다.
오픈소스 참여도가 인구수에 비례하는 측면도 있겠지만, 경제 규모를 감안했을 때 우리나라의 참여가 너무 적다는 게 이 학장의 지적이다.
이 학장은 "우리나라 경제 규모가 전 세계 7위라고 하는데 오픈소스 참여도도 그정도 수준은 되야 할 것"이라며 "우리나라에서 더 많은 오픈소스 기여자가 나올 수 있도록 연구소, 회사 등이 노력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구글은 진정한 오픈소스 크로미엄을 내놔야 한다"2021.02.02
- "오픈소스 생태계 망치지마"...AWS·엘라스틱 '네 탓 공방'2021.01.27
- 윈도로 되돌렸던 뮌헨, 다시 오픈소스로 간다2020.05.15
- 구글, 취약점 스캐너 오픈소스로 풀었다2020.07.12
또 "기업, 학교, 연구소들은 스스로 '우리가 오픈의 의미를 알고 있나' '오픈의 의지가 있나' '충분히 오픈을 지원하고 있나' '충분히 오픈하고 있나' 순으로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정부에 대해서도 '오픈소스 퍼스트' 정책을 펼칠 것을 주문했다. 이 학장은 "정부 조달 시장이나 세금이 들어가는 사업에는 오픈소스를 먼저 고려하는 '오픈소스 퍼스트' 정책이 추진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