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총 2천879억원 규모의 ‘2021년도 과기정통부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에 확정된 계획은 과기정통부의 소재·부품·장비 지원예산(소재·부품·장비 특별회계 기준) 4천173억원 중 약 70%에 해당하며, 전년 대비 약 25%가 증가한 규모다.
특히, 내년부터는 보다 체계적인 사업 관리와 연구현장의 편의성 및 예측가능성 제고를 위해 유사한 성격을 가진 과제들을 묶어 ▲미래기술 ▲핵심기술 ▲사업화 ▲팹 고도화 ▲연구혁신으로 유형화하고, 유형별 맞춤형 지원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 미래 기술수용 대응 1천억원 투자
미래 기술수요에 대응하고 신시장·신산업 창출을 선도할 차세대 나노·소재 유망 원천기술 확보에 1,020억원을 투자한다.
8nm 이하 초미세 반도체 공정용 무기 포토레지스트, 맥신(타이타늄과 탄소가 층층이 쌓인 2차원 나노물질) 기반 고성능 전극소재 등 혁신적·도전적 연구주제(8개→30개 내외, 181억원) 와 미래선도품목(신규, 4개 내외, 20억원) 개발을 위한 ‘미래기술 연구실’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그동안 축적해 온 나노융합기술이 산업적으로 구현 가능한지 검증(시제품 제작)하는 과제를 새롭게 지원하며, 코로나19 확산 등을 고려해 바이오융합분야를 우선 지원(8개, 60억원 내외)할 계획이다.
아울러, 계산과학 등 신연구방법론을 활용한 신소재 발굴 연구단(28개, 415억원), 영상‧소리 동시구현 디스플레이 소재, 체내 삽입용 유연 전자소자 등 계속과제(60여개, 344억원)도 지속 지원한다.
■ 국가핵심소재 연구단 확대 선정
소재·부품·장비 핵심품목(100+85개)과 연계를 바탕으로 산·학·연이 한 팀(기업 필수참여)이 돼 원천기술 기반형 응용연구를 수행하는 ‘국가핵심소재 연구단’을 확대 선정(올해 32개→내년 57개, 832억원 내외)하고, 이어달리기, 함께달리기 등 부처협업을 강화한다.
올해 비백금 귀금속촉매와 비탄소담지체 기반 수소생산 촉매 소재, 나노 LED 디스플레이 소재 등 10개 연구단을 신규로 선정(올해 15개→내년 25개)한다.
이어달리기 전용사업으로 지정해 과제기획 단계부터 산업부와 협업하고, 과제종료 전 상용화 과제 기획에 착수해 연구 성과를 신속하게 상용화와 공급망 진입으로 연계한다.
‘소재+공정+시스템’을 통합 지원해 완성도 있는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연구기간 내 기술이전을 완료하는 유형으로, 내년 15개 연구단을 추가 선정(올해 17개→내년 32개)한다.
이 중 5개 연구단은 기초·원천연구와 응용·개발연구를 동시에 추진할 수 있는 협업품목에 대해 과기정통부·산업부·중기벤처부간 함께달리기 연구개발(R&D)을 처음으로 시도한다.
■ 공공연구기관 기술 이전 기업 대상 사업화 지원
공공연구기관이 보유한 나노·소재 원천기술을 이전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사업화 모델 개발 및 초기시장 진입을 지원하기 위해 ‘나노융합2020+’ 사업에 30억원(9개 내외, 산업부 공동, 나노)을 투자한다.
정부투자대비 454%의 누적 매출액을 달성하는 등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고 올해 종료된 ‘나노융합2020’의 후속 지원으로, 그간의 노하우를 활용해 특허분석, 기술자문, 상시 모니터링 등을 지원한다.
■ 국가 나노인프라 고도화 643억 투자
반도체 테스트베드 구축, 대학 팹시설 확충, 연구자와 기업 대상 시험평가 지원 등 국가 나노인프라 고도화에 643억원을 투자한다.
수출규제 이후, 중소팹리스 기업의 신속한 성능평가 지원을 위해 착수한 12인치 반도체 테스트베드(나노종합기술원)와 시스템반도체 제작 일괄공정(나노종합기술원-한국나노기술원 협업)은 올해 핵심장비 구축이 완료됐고, 내년 시범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또한, 기존 공공팹 이외에 대학의 반도체 팹 시설·장비·서비스 고도화를 신규로 추진(3개 기관, 90억원)하며, 대기업 출신 고경력 인력을 활용한 사업화 컨설팅도 새로이 추진(10명, 한국나노기술원)한다.
■ 소재 연구데이터 수집·공유 플랫폼 지속 지원
먼저, ‘디지털뉴딜’과 연계한 ’소재 연구데이터 수집·공유 플랫폼‘ 구축을 지속 지원(올해 9월부터 내년까지 60억원)하면서, 축적된 연구데이터의 활용을 위한 탐색·설계, 공정개발, 측정·분석 등 특화 서비스 개발에도 신규 착수(내년 79억원)한다.
아울러, 나노인프라(연 1천명)와 연구데이터 플랫폼(연 495명)에서의 현장 실습경험을 갖춘 소부장 전문인력을 지속 육성하면서, 공공연구기관 기술인력의 소부장 기업파견도 신규 지원(45억원)한다.
관련기사
- 시스템반도체 첨단패키지 기술 등 5종 국가핵심기술 신규지정2020.12.15
- 반도체 패키징 검사, 성능·속도 두 마리 토끼 잡았다2020.12.14
- "차량용 반도체 시장, 2040년 1750억달러... 자일링스 혁신 주도할 것"2020.12.09
- 中 자동차업계, 반도체 수급난 현실화된다2020.12.09
과기정통부는 지속 확대되는 나노와 소재 분야 연구개발 예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유관기관 전문성을 활용한 예비기획 신설, 가선정제도 확대 운영, 평가 시 극히불량과제 판단을 통한 연구윤리 강화 등 적극행정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김봉수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소재·부품·장비와 나노기술은 정부 차원에서 장기적이고 안정적으로 ‘흔들림 없이’ 지원할 분야”라고 강조하면서 “우수한 연구 성과가 제품이 되고, 공급망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산업수요를 연구개발에 적극 반영하고, 관계부처와 산·학·연 협력을 강화해 예산이 낭비 없이 지원되도록 관리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