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자동차업계, 반도체 수급난 현실화된다

내년 1분기 생산차질 우려…폭스바겐 공장은 벌써 영향

카테크입력 :2020/12/09 10:07    수정: 2020/12/09 11:17

중국 자동차용 반도체 공급 리스크가 내년초에 현실화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중국자동차산업협회 리사오화 부비서장은 "일부 자동차 기업들이 내년 1분기에 (반도체 공급 리스트의) 큰 영향을 입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고 자동차전문매체 치처쭝헝이 8일 보도했다. 

그는 다만 "칩 공급 부족 문제가 있긴 하지만 일부 언론들이 제기한 것처럼 심각한 수준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중국 언론들은 이번 주 초 반도체 칩 공급 부족 때문에 폭스바겐이 중국에서 합작해 운영하는 두 개 공장이 연이어 생산중단 상황에 내몰렸다고 보도했다. 이 같은 보도와 함께 자동차 업계에 반도체 리스트가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일부 반도체 생산이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 자동차 수요가 회복되면서 반도체 수급난이 벌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MCU(Motor Control Unit)등 관련 공급이 부족하며 절연게이트양극형트랜지스터(IGBT) 공급도 빠듯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폭스바겐 공장이 칩 공급 부족으로 생산 중단 상황에 놓였다는 뉴스가 보도됐다. (사진=CCTV)

로이터는 자동차 부품기업 콘티넨탈 관계자를 인용해 중국 내 자동차용 반도체 공급부족 사태가 내년까지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8일 중국 언론 차이롄서에 따르면 20개 이상의 중국 자동차 완성차 주요 기업 조사 결과 9개 기업은 문제가 없다고 밝혔지만 3분의 1가량 기업은 반도체 공급 상황을 우려하면서 생산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결론적으로, 칩 공급 부족이 당장의 심각한 사태를 가져온 것은 아니지만 주시해야 할 잠재 리스크 이슈로 평가되는 분위기다.

중국 폭스바겐 공장의 주요 공급선인 ST마이크로의 프랑스 공장 파업, 일본 아사히카세이(ASAHI KASEI) 공장 화재 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관련기사

이번 사안으로 세계 최대 자동차 생산국인 중국의 자동차 핵심 부품과 반도체 수입 의존도 문제도 불거졌다. 자동차 산업에서 약 10%만 자급, 외부 리스크가 크다는 것이다.

자동차 산업에서 '제 2의 화웨이' 사태 역시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도 제기됐다. 이에 중국 기업들의 자동차 반도체 개발 역시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