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민간 우주 기업 스페이스X가 위성인터넷 프로젝트 '스타링크'의 시범 서비스에 들어갔다. 요금은 월 99달러(약 11만원)다.
27일(현지시간) 미국 경제 전문 방송 CNBC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서비스 가입을 희망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해 이같이 알렸다. 회사는 지난 6월 웹사이트를 통해 가입 희망자들을 모집, 약 두 달만에 70만명을 모았다고 밝힌 바 있다.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를 통해 인터넷 연결이 어려운 지역에도 초고속 인터넷을 보급하고자 지구 저궤도에 인공위성 약 1만2천여개를 띄워 위성인터넷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해왔다.
발송된 메일에서는 월 요금 외에 사용자 단말기와 삼각대, 와이파이 라우터 등 초기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키트 구입비로 499달러(약 56만2천원)가 추가된다고 덧붙였다.

스페이스X는 메일을 통해 아직 서비스 초기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초당 50~150MB 정도의 속도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안내했다. 인터넷 지연 시간 20~40밀리초(ms) 정도로 예상했다. 일시적으로는 인터넷 연결이 아예 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스페이스X, 19조원 규모 美 '오지 디지털화 사업' 수주전 참여2020.09.04
- 스페이스X 스타링크의 위성 인터넷 속도는?2020.09.04
- 스페이스X, 재활용 로켓 6번째 발사 '신기록'2020.08.19
- 스페이스X, 위성인터넷 '스타링크' 베타테스트 속도 유출2020.08.17
스타링크 서비스 지원용 앱도 구글 플레이 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 등록했다. 앱 페이지에 따르면 이번 시범 서비스는 미국과 캐나다를 대상으로 올해 말까지 진행된다. 이후 내년 전세계로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라고 언급돼 있다.
지난달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의 베타 테스트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베타 테스트에서는 100Mbps 가량의 인터넷 속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