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이후 주춤했던 홈페이지 변조 해킹 건수가 최근 다시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김상희 부의장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5년간 총 홈페이지 변조 건수는 4천641건에 이른다고 밝혔다.
이어, 2018년 567건이던 변조 건수가 2019년 639건에서 올해 8월까지만 해도 655건으로 지난해 수준을 넘어섰다고 우려했다.
관련기사
- 김상희 부의장 "국내 원전 드론테러 무방비, 방호체계 강화해야”2020.10.04
- 생활밀접업종시설 10.6%만 전자출입명부 사용2020.09.22
- 추석 안부 문자, 이럴 땐 '해킹' 의심해보세요2020.09.23
- 해킹 겪은 트위터, 美 대선 앞두고 보안 강화2020.09.18

김상희 부의장은 “홈페이지 변조의 경우 단순히 과시용 핵티비즘 해킹도 있지만 로그인 페이지 등의 해킹을 통해 비번 등 민감한 개인보안정보가 유출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홈페이지 변조 등 해킹 기술이 날로 고도화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맞는 보안기술 및 탐지기술도 빠르게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며 “정부가 보안업체의 기술개발을 정책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