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환의 EV세상] 상암 수소충전소, 논란 딛고 다음달 정식 재개장하나

산업부 차관 막판 점검...양재 연내 재개장 가능성은 제자리걸음

카테크입력 :2020/09/29 17:27

지난해 10월 승압공사 이후, 설비 등 여러 논란을 낳았던 서울 상암동 수소충전소가 다음달 중순 정식 재개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충전소의 목표 예정 시기일 뿐, 아직 정부나 서울시 등은 공식적인 상암동 수소충전소 재개장 시기를 언급하지 않고 있어 재개장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정승일 차관이 29일 오후 2시 상암동 수소충전소 현장을 찾아 충전소 내 용량증설과 설비개선 추진현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다음달 중순 재개장을 위한 막판 점검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상암 수소충전소는 지난해 10월 승압공사 이후 여러 논란을 낳았다.

이곳은 국내 수소충전소 중 유일하게 수소생산설비를 갖춘 곳이다. 외부에서 수소를 가져와 튜브트레일러에 저장시키는 다른 수소충전소 운영 방식과 다른 시스템을 구축한 곳이다. 이곳은 서울시와 서울에너지공사 등이 운영을 맡고 있다.

하지만 이 수소생산설비는 여러 한계에 부딪히며 정상 운영이 이뤄지지 않았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난 4월 “원래 상암동 수소충전소는 하루 30대 수소차를 충전할 수 있는 150kg 수준의 수소를 확보시키는 것이 목표인데, 현재 수준으로 20대에서 25대 정도밖에 충전할 수 없어 공식 오픈이 늦어지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서울 마포구 상암동 수소충전소.

상암수소충전소는 지난 5월 14일부터 28일까지 2주간 자체 홈페이지로 무료 시범충전 예약을 받았다. 하루 40대 충전이 가능하고, 완충이 아닌 80%까지만 충전이 가능하다는 설명도 달았다. 유료화 시작이 되면 하루 40대 규모의 충전이 가능한 예약제 충전을 실시하겠다는 계획도 전한바 있다.

하지만 수소생산설비가 하루 40대 분량의 차량을 충전시키는데 한계를 보이면서, 산업부는 29일 보도자료를 통해 상암수소충전소의 하루 최대 충전 가능 대수를 30대로 낮춰 잡았다. 기존 10여대 충전에서 30대 규모로 확대됐다는 것이 산업부 설명이지만, 당초 상암수소충전소가 목표로 삼았던 하루 40여대 충전 목표보다 낮은 건 분명하다.

산업부는 29일 정승일 차관의 상암수소충전소 방문 소식을 전하는 보도자료에서 구체적인 충전소 오픈 예정 시기를 언급하지 않았다. 국민 생활 안전과 직결된 수소충전소는 설계부터 운영 단계까지 안전성 평가 등을 강화한다는 것이 기본 계획이다. 하지만 언제든지 발생될 수 있는 충전소 고장 방지 대책은 자세히 언급되지 않았다.


양재 수소충전소 재개장은 언제? 아직까지 고심중인 정부와 지자체


산업부와 서울시 등은 현재 정체 상태인 서울 양재 수소충전소 운영 활성화 방안도 고민해야 하는 상황이다.

현재 서울 양재 수소충전소는 설비 노후화로 운영이 일시 중단된 상태다. 효성에서 제작된 수소충전기는 작동이 멈춘 채 충전소 내에서 방치된 상태다. 충전소 내부에는 재개장 예정 시기 등이 언급된 안내문이 부착되지 않았다.

관련기사

양재 수소충전소를 그동안 운영했던 현대차는 올해 충전소 재개소가 어렵다고 판단해, 운영권을 서울시로 넘겼다. 이로써 양재 수소충전소도 서울시와 서울에너지공사 등이 관리하는 수소충전소가 됐다.

관건은 서초구청의 협조다. 서초구청은 현재 주민 동의가 필요하다며 양재 수소충전소 구축에 대한 서울시의 공문에 자체 의견을 보낼 준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서초구청장 등이 서울 양재수소충전소 구축에 방해 요소가 되고 있다는 지적이 수소전기차 오너들 사이에 나옴에 따라, 서초구청은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고심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