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환의 EV세상] "서초구 때문에"...양재 수소충전소 연내 재개장 불투명

서초구청, 주민설명회 요구하며 난색...서울에너지공사가 충전소 관리 대행

카테크입력 :2020/09/24 16:18

양재 수소충전소 연내 재개장이 서초구청 때문에 어려워졌다. 

양재 수소충전소의 관리 주체는 최근 현대자동차에서 서울시로 변경됐다. 현대차가 연내 양재 수소충전소 재개소가 어렵다는 판단을 한 후, 서울시에 해당 수소충전소를 기부채납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양재 수소충전소 운영 대행을 산하기관인 서울에너지공사에 맡기고 선진화된 수소충전소 운영에 힘쓰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추가경정예산까지 확보했다는 점도 강조했다.

하지만 서초구청이 서울시의 양재 수소충전소 재개장을 방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서울시는 최근에 서초구청 푸른환경과 대상으로 수소충전소 운영과 관련된 협조공문을 보냈다. 용량을 늘려 더 많은 수소전기차 오너들이 충전할 수 있도록 서초구가 협조해달라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양재 수소충전소에서 충전중인 서울시내 수소전기버스 (사진=지디넷코리아)

그러나 서초구청 푸른환경과는 서울시의 결정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최근 수소전기차 충전소 건설에 대한 주민들의 반발을 의식한 듯, 주민 설명회 개최가 우선시 돼야 한다는 것이 기본 입장이다.

현재 국내 일부 지역에서는 수소충전소 건설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나오고 있다. 부산, 서울 강남구, 강원도 원주에 거주하는 일부 주민들은 강릉에서 발생된 수소탱크 폭발 사고 등을 예로 들며 수소충전소 건설을 반대를 외치기도 했다. 결코 우리 집 앞에 수소충전소를 지으면 안되는 님비(NIMBY) 현상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서초구청 관계자는 양재 수소충전소 운영에 부정적인 모습을 보인 이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야기 하기 어렵다. 해당 사안은 서울시와 통화를 하는 것이 옳다”며 즉답을 회피했다.

수소전기차 오너들은 서초구청의 조치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내놓고 있다.

네이버 넥쏘카페에서는 “기존 수소충전소를 활용하지 못하게 버려두는 것은 너무 하다”며 “조은희 서초구청장에게 수소충전소 필요성에 대해 민원을 줘야 서울 양재 수소충전소의 연내 재개소가 가능할 것”이라는 내용의 게시물이 올라왔다.


충전소 설비 노후화로 10개월째 멈춘 양재 수소충전소


서울시는 우선 수소충전소에 대한 서초구청의 입장을 공문으로 받아 자체 입장을 정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서초구청이 수소충전소에 대한 입장을 언제 낼지가 관건이다. 서울시의 수소충전소 관련 공문 회송 요청 기한이 따로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12월 11일 늘어나는 수소전기차 오너들의 충전 수요를 맞추기 위해 양재 수소충전소의 운영 시간을 확대하는 조치를 했다. 하지만 노후화된 충전기가 다수의 수소전기차를 충전시킬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나자, 현대차는 올해 2월 “설비 노후화로 인해 더 이상 운영에 어려움이 있어 새로운 설비로 재구축해 2020년 말 개소 예정”이라고 안내했다.

이후 현대차는 6개월간 양재 수소충전소 연내 재개장을 위한 사업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다. 결국 현대차는 연내 양재 수소충전소 재개장이 어렵다고 결론, 자체 판단이 담긴 통보문을 서울시에 발송했다. 결국 해당 수소충전소의 운영권은 현대차가 아닌 서울시로 넘어가게 됐다.

관련기사

현재 서울시내는 양재뿐만 아니라 상암, 여의도 국회의사당 정문 앞, 강동 지역 등 총 4곳의 수소충전소가 운영되고 있다. 이중 일반인이 정상 충전할 수 있는 곳은 여의도 국회의사당과 강동 두 곳 뿐이다.

서울 상암동 수소충전소는 전국 다른 수소충전소와 달리 수소를 직접 생산하고 충전할 수 있는 설비가 구축됐다. 최근 일부 수소전기차 오너 대상으로 시범 충전이 진행됐지만, 아직까지 정상 운영 가능 시기는 정해지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