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디지털미디어 소외계층 없앤다

소통과 배려의 새로운 디지털 공동체 실현

방송/통신입력 :2020/08/27 15:30    수정: 2020/08/27 15:47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방식의 TV, OTT, SNS 등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이 크게 늘었지만 나이와 계층에 따라 소외되는 이용자가 나타나고 허위정보 확산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범 정부 대책이 마련됐다.

방송통신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는 27일 서울정부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디지털 미디어 소통역량 강화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정부의 코로나19 이후 시대 핵심과제 일환으로 관계부처와 지속적인 논의의 결과물이다.

정부는 디지털 미디어 발전의 결과물을 함께 누리고, 나이와 계층, 지역으로 인해 디지털 사회에서 소외되는 일이 없도록 디지털 미디어 이용 및 제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종합계획을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한상혁 방통위원장은 “비대면 사회에서 더욱 중요해진 디지털 미디어 활용 능력을 전 국민이 갖출 수 있도록 미디어교육을 확대하고 인프라를 강화하는 한편, 누구도 미디어교육의 혜택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촘촘히 지원하겠다”라며 말했다.

이에 따라 소통과 배려의 새로운 디지털 공동체 실현이라는 목표를 세우고 ▲온오프라인 미디어교육 인프라 확대 ▲국민의 디지털 미디어 제작 역량 강화 ▲미디어 정보 판별 역량 강화 ▲배려 참여의 디지털 시민성 확산 등 4대 전략과제와 12개 세부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사진 = 이미지투데이

■ 온오프라인 미디어교육 인프라 확대

시청자미디어센터 등 미디어교육 거점시설을 늘린다.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쉽게 미디어 제작과 체험을 할 수 있도록 시설과 장비를 무상으로 지원한다.

미디어교육원을 교원연수 전문기관으로 육성하고, 학교미디어교육센터를 신설해 원격수업이 본격화된 교육 현장을 집중 지원키로 했다.

온라인 미디어교육 플랫폼을 통해 개별적으로 관리되던 미디어교육 관련 정보를 한곳에 모아 개방한다.

■ 디지털 미디어 제작역량 강화

모든 국민이 디지털 미디어를 이용하는 시대에 유아부터 어르신까지 누구나 자신의 이야기를 미디어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을 시행한다.

아울러 자유학기제, 고교학점제 등 교육과정과 연계한 학교 미디어교육을 확대하고 장애인과 다문화 가정, 학교 밖 청소년까지 사각지대 없는 교육을 시행할 계획이다.

도서벽지 등 상대적으로 교육을 누리기 어려운 지역과 계층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교육을 확대한다. 누구나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1인 미디어 창작자 양성 교육을 실시한다.

1

■ 미디어 정보 판별 역량 키운다

미디어가 제공하는 정보들을 비판적으로 습득, 활용할 수 있도록 팩트체크 시민교육을 확대한다. 언론, 사회, 경제 등 분야별 전문가가 전문 팩트체커로 활동할 수 있도록 심화교육도 실시한다.

또한 검증 대상 제시와 팩트체킹 과정 등에 국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팩트체크 오픈 플랫폼을 운영해 팩트체크 활성화를 지원한다.

SNS, 유튜브 등 인터넷서비스의 추천원리에 대한 이해 교육으로 디지털 콘텐츠 활용능력도 높인다.

■ 디지털 시민성 확산

디지털 공간에서 정체성 확립, 소통과 사회 참여 등을 위한 윤리교육을 강화한다. 사이버 폭력, 혐오표현 등 디지털 역기능 예방 프로그램과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교육도 실시한다.

관련기사

공동체 라디오 확산과 지역 공동체의 미디어 참여를 지원하는 등 다양한 방식의 소통을 활성화하여 비대면 시대에 느슨해지기 쉬운 사회적 결속을 다질 수 있도록 한다.

이밖에 미디어 리터러시 지수 개발과 측정을 통해 전 국민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중장기적 정책방향을 수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