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경상북도,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 충청북도가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로 지정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에너지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경남도, 경북도, 부산·울산, 충북도 등 4개 지역을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로 추가 지정했다고 밝혔다.
가스복합 화력발전이 주력인 경남도는 한국형 가스복합발전 개발과 사업화를 위한 산업생태계로 조성된다. 가스터빈 국산화 등 기술경쟁력 확보하고, 가스복합발전 산업으로 산업생태계를 전환한다.
경북도는 풍력발전 신산업을 통한 그린뉴딜 융복합단지로 만든다. '리파워링 단지' 등 육상풍력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풍력발전 시스템 유지관리(O&M) 기술력 확보에 나선다.
원자력발전이 주력 사업인 부산과 울산은 원자력·원전해체 산업의 글로벌 융복합단지로 조성된다. 건설·운영·해체에 이르는 원전산업 전(全)주기 기술개발·자립화·고도화를 추진, 국제공동 협력프로젝트 등을 통한 글로벌 해외시장 진출도 목표로 한다.
마지막으로, 태양광(안전)·에너지효율·스마트그리드를 중점 사업으로 하는 충북도는 신재생에너지기반의 안전산업 생태계로 만든다. 신재생에너지 안전분야 인증·표준화 등 융합산업을 고도화하고, 에너지신산업 분야 지능형정보 중심의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한다.


정부는 에너지 융복합단지를 에너지 신산업 육성과 그린뉴딜 확산의 거점으로 만들기 위해 융복합단지에 입주한 에너지 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지방세 감면 혜택과 산업부 연구·개발(R&D) 가점 부여, 그리고 지역투자촉진보조금 우대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융복합단지에 대한 실효적인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반기 중 '에너지 융복합단지법' 개정도 추진한다. 정부 지원과 전담기관의 근거를 담은 이 법 개정안은 현재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계류 중이다.
지자체와 협력해 중점산업 육성에 필요한 R&D·실증 사업도 발굴한다. 지역 에너지시책과 중점산업 육성방안의 연계를 강화하는 등 융복합단지의 내실있는 운영을 지원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신재생에너지 보급지원 추가 접수…잔여·추경예산 503억원 투입2020.08.19
- 창립 37주년 가스공사, 제2창업 선언…"에너지 리더십 확보"2020.08.19
- 전력그룹사, '신바람에너지스쿨' 협약…미래에너지 교육 앞장2020.08.11
- 동서발전, 친환경에너지 융합 클러스터 조성 '시동'2020.08.07
정부는 지난해 광주·전남과 전북을 융복합단지로 선정하면서 "지역에너지계획 수립 시 중점산업 육성, 지원 인프라 구축 등을 융복합단지 계획과 연계해 반영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융복합단지는 지역이 주도하는 그린뉴딜의 대표적인 사례"라며 "지역의 에너지 인프라를 기반으로 우수한 기업과 연구소를 유치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