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 국제표준화 1년…목표 높여 그린뉴딜 돕는다

국표원, 제2차 로드맵 발표…국제표준 제안 15건→18건 상향

디지털경제입력 :2020/07/15 16:57

정부가 '수소경제 국제표준화 로드맵' 발표 1년을 맞아 표준화 목표치를 상향한다. 수소경제 표준화 작업은 최근 발표된 그린뉴딜 정책과 맞물려 더욱 속도가 날 전망이다.

우리나라가 지금까지 제정한 수소경제 분야 국제 표준은 아직 1건에 불과하다. 정부는 지난해 1건 신규 제안에 이어 연내 2건 이상을 개발, 추가 제안할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15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개최한 '수소경제 표준화 전략로드맵 1주년 성과 보고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표준화 제2차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날 현장엔 이승우 국표원장, 이홍기 포럼위원장 등을 포함해 수소경제 분야 산·학·연 전문가 50여명이 참석했다.

이승우 국표원장은 "그린뉴딜 정책의 핵심 분야인 수소경제를 조기에 이행하고 성공적으로 확산하려면 우리가 개발한 기술을 국제 표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안전하고 성능좋은 수소 관련 제품이 시장에 보급될 수 있도록 연료전지시스템 등을 포함해 수소제품 KS인증 품목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수소연료전지 드론. 사진=메타비스타

'수소선박 충전' '드론 액체수소용기' 등 신규과제 개발

우선 정부는 2차 로드맵을 통해 2030년까지 국제표준 18건 이상을 제안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이는 1차 로드맵의 목표였던 15건과 비교해 20% 상향 조정한 것이다.

신규 국제표준화 과제로는 ▲수소건설기계와 충전기 간 실시간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수소충전 프로토콜' ▲선박에 수소를 안전하게 공급하는 '수소선박 충전' ▲드론의 비행시간을 연장하는 '드론 액체수소용기' 기술 등이 있다.

앞서 정부가 국제 사회에 제안한 첫 표준은 '마이크로 연료전지의 전력 호환성'에 대한 국제표준이다. 이는 지난해 5월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서 국제표준으로 제정됐다.

이어 정부는 지난해 6월, '수소건설기계의 연료전지 성능평가' 기술을 새로운 국제표준으로 제안했다. 올해는 '노트북용 연료전지 성능평가'와 '수전해용 분리막 안전성 평가' 기술을 국제표준으로 제안할 방침이다.

지난해 4월 발표된 '수소경제 표준화 전략 로드맵' 내용 중 발췌. 2차 로드맵에선 2030년까지 18건 이상의 국제표준을 제안키로 했다. 자료=국표원

국내 표준 작업도 가속…'수소 KS인증' 연내 1건 추가

표준화 작업 속도도 높인다. 국표원은 당초 2023년 이후 개발될 예정이었던 '수전해용 분리막 안전성평가'와 '복합재 용기 비파괴검사' 국제표준 제안 시기를 각각 올해와 2022년으로 앞당긴다.

국가표준(KS)인증 도입에도 박차를 가한다. 로드맵에 따르면 정부는 2030년까지 수소 분야에서 30건의 KS인증 품목을 지정키로 했다. 

현재는 스쿠터·지게차 등 소형 운송장비에 주로 사용되는 '직접메탄올연료전지(DMFC)'와 '수소충전소용 밸브장치' 등 두 건의 KS인증이 도입된 상황이다. 정부는 이달 차세대 연료전지인 '건물용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에 대한 KS인증을 개정, 하반기 시행을 앞두고 있다.

국표원 관계자는 "국제표준화 과제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하반기엔 국제 전문가가 참여하는 '수소경제 국제표준포럼'도 열린다"며 "이어 내년엔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연료전지기술 총회와 작업반 회의를 국내에서 유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어 "기업의 수소 분야 연구·개발(R&D) 성과가 국제표준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업과 국제표준 전문가를 연결하는 '표준 매치업' 사업을 활용할 예정"이라며 "산업계 기술 전문가의 국제표준화회의 참가를 지원하고 이들을 표준 전문가로 육성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