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디지털 뉴딜에 25년까지 58조원 쏟는다

文 "추격형에서 선도형 경제로 도약할 것”

방송/통신입력 :2020/07/14 16:00    수정: 2020/07/14 17:08

정부가 2025년까지 총 58조 2천억원을 투입해 ‘디지털 뉴딜’을 추진한다. 코로나19를 계기로 전 산업의 디지털화를 추진하고, 비대면 산업을 육성하겠다는 전략이다.

14일 문재인 대통령은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를 통해 정부가 2025년까지 추진할 미래 성장 전략에 대해 소개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4차산업혁명과 디지털 문명은 이미 시작된 인류의 미래로, 그 흐름에서 앞서가기 위한 국가 발전 전략이 한국판 뉴딜”이라며 “우리가 보유한 세계 최고 수준의 ICT 경쟁력을 전 산업에 결합한다면 추격형 경제에서 선도형 경제로 도약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사진 = 이미지투데이

이날 문 대통령이 발표한 한국판 뉴딜은 디지털 전환을 통해 미래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디지털 뉴딜’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그린 뉴딜’로 나뉜다. 특히 디지털 뉴딜에는 현 정부의 임기가 만료되는 2022년까지 23조4천억원이 투입된다. 이를 통해 정부는 미래 경쟁력의 기반이 되는 인프라 및 산업 활성화 기반을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데이터·네트워크·AI가 미래 경쟁력 핵심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등 이른바 D.N.A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해 정부는 2025년까지 총 38조5천억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일자리 56만7천개를 창출해 내는 것이 목표다.

AI를 미래 먹거리로 점찍은 정부는 이번 전략을 통해 AI 발전의 토대가 되는 ‘데이터 개방’에 초점을 맞췄다. 구체적으로 공공 데이터 14만2천개를 전면 개방해 제조·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1천300종에 이르는 AI 학습용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AI를 고도화하고, 데이터를 사고팔 수 있는 바우처도 8천400개사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전 산업에 5G·AI를 융합하기 위한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5G 기반의 실감 콘텐츠 및 스마트 박물관을 확대하고, AI 기반의 스마트공장·홈서비스 시장을 확대할 방침이다. 비대면 기반의 스타트업 1천개를 육성하고, 중소기업 1천350개사에 스마트솔루션도 지원할 계획이다

민간의 5G·AI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정부는 선제적인 움직임에 나선다. ‘지능형 정부’를 목표로 39개 중앙부처에 단계적으로 5G 국가망을 구축하고, 공공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한다는 전략이다.

■ 교육도 비대면으로…초·중·고·대학·직업훈련 활성화 인프라 조성

전국 초·중·고·대학 및 직업훈련의 온·오프라인 융합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전략도 추진된다. 이 사업에는 2025년까지 1조3천억원이 투입되며, 일자리 9천여개 창출이 목표다.

우선 비대면 교육 확대를 위한 첫걸음으로 전국 38만개 초·중·고 교실에 고성능 와이파이가 구축된다. 이를 위해 교직원 등이 보유한 노후 PC·노트북 등 20만대가 교체되고, 누구나 맞춤형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온라인 교육 통합 플랫폼도 개발된다.

전국 대학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학습관리시스템(LMS)’도 만들어진다. 미래 핵심 분야인 AI 로봇 등 교육 강좌는 2025년까지 누적 기준 2천개로 늘린다. 온·오프라인에서 누구나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는 ‘스마트 직업훈련 플랫폼(STEP)’을 고도화할 방침이다.

■ 원격으로 진료받고 일한다…비대면 인프라 구축 지원

의료·근무·비즈니스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의 비대면 인프라 구축을 통한 관련 산업 성장도 지원한다. 이 사업에는 2025년까지 25조원이 투입된다. 정부는 이 분야에서 관련 일자리 13만4천여개가 창출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우선 스마트 의료 분야를 강화하기 위해 2025년까지 디지털 기반 스마트병원 18개가 구축된다. 호흡기전담클리닉 1천개소도 설치된다. 5G와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해 입원환자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방안도 도입된다.

ICT로 사회적 약자를 지원하는 방안도 확대된다. 건강 취약계층 12만명에게는 사물인터넷(IoT) 센서와 AI 스피커 등을 활용한 디지털 돌봄이 제공된다. 만성질환자 20만명에게는 웨어러블 기기가 보급, 건강 관리에 활용된다.

원격근무가 일상화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지원도 추진된다. 정부는 중소기업 16만개사에 원격근무 시스템 구축을 지원한다. 영상회의 품질 향상을 위한 소프트웨어도 개발할 방침이다. 이밖에도 소상공인 32만을 대상으로 온라인 기획전·라이브커머스 입점 등 사업이 추진되고, 5G·AI 기반의 스마트상점 10만개와 스마트공방 1만개도 만들 계획이다.

■ 디지털화 효용, 전 국민에게 돌아가도록 지원

일상생활에 디지털화가 스며들도록 SOC 핵심 인프라의 디지털화도 추진된다. 2025년까지 총 15조8천억원이 투입되며, 일자리 19만3천개를 창출하겠다는 것이 목표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교통 ▲디지털트윈 ▲수자원 ▲재난 대응 등 4개 분야 인프라의 디지털 관리체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교통 분야 혁신을 위해서는 차세대지능형교통시스템(C-ITS)을 구축하고, 15종의 정밀 도로 지도 및 지하 구조물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하천 및 저수지를 원격 관리하는 시스템과 재난 대응 시 조기경보시스템도 갖출 방침이다.

도시와 산단의 디지털 혁신도 추진된다. 108개 도시에 CCTV와 연계된 통합 플랫폼이 구축되고, 스마트시티 시범 도시도 전국 2곳에 조성된다. 노후 산단의 유해물질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체계가 구축돼 안전한 삶을 보장하고, 실시간으로 안전을 관리하는 통합관제센터도 구축된다.

비대면 사회에 맞춰 성장이 기대되는 ‘물류 분야’에도 ICT가 도입된다. 중소기업 전용 스마트 공동물류센터가 11개소에 구축되고, 대형 이커머스 물류단지가 조성된다. 해운물류를 위해서는 항만 통합 블록체인 플랫폼이 확대되고, 농산물 거래를 관리하기 위한 온라인 경매 플랫폼도 구축된다.

관련기사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디지털 뉴딜 정책을 통해 코로나19라는 위기 상황 속에서 기회를 만들어 내겠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사회는 이미 비대면 디지털화에 접어들었고 데이터가 경쟁력인 사회, AI와 네트워크가 미래 먹거리가 된 사회에 접어들었다”며 “우리가 디지털 혁명을 이끌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디지털 뉴딜을 통해 더 담대하고 선제적인 투자로 세계를 선도하는 1등 국가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