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방역모델 세계 표준화할 범정부 추진로드맵 나왔다

정부, ‘K-방역 3T 국제표준화 추진전략 로드맵’ 발표

디지털경제입력 :2020/06/11 11:22    수정: 2020/06/11 19:12

K-방역 모델을 세계 표준으로 만들 범정부 차원의 길잡이가 나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제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검사·확진→역학·추적→격리·치료로 이어지는 3T(Test-Trace-Treat)를 K-방역모델로 체계화한 18종의 국제표준을 국제표준화기구에 제안하기 위한 국제표준화 추진로드맵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로드맵에는 자동차 이동형(드라이브 스루) 선별진료소 운영 절차 등 국제표준화 18종 외에 K-방역 관련 R&D 과정에서 얻어지는 임상 데이터, 표준물질에 대한 표준화 계획도 포함됐다.

의료진들이 서울 송파구 잠실주경기장에 마련된 드라이브 스루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차량에 탑승한 시민을 검사하고 있다.

로드맵 수립 과정에서 외교부가 중심이 돼 범부처가 참여하는 ‘코로나19 대응 국제 방역협력 총괄 TF’와 협력해 왔다. TF를 통해 중소벤처기업부·소방청 등이 제안한 음압 병실, 감염병 환자이송 지침 등도 국제표준으로 제안할 계획이다.

K-방역 3T 국제표준화는 과정별로 즉시 표준화할 수 있는 분야부터 우선 제안하고 표준안 개발에 연구가 필요한 분야는 2022년 상반기까지 순차적으로 제안한다.

국제표준화 18종은 3T 단계별로 체계화해 추진할 예정이다.

검사·확진 단계는 감염병을 정화하게 진단하고 확진자를 선별하기 위한 진단시약·장비, 검사기법, 선별진료소 운영시스템 등 6종의 국제표준을 제안한다.

역학·추적 단계는 자가 격리자 등을 효과적으로 추적·관리하기 위한 모바일 앱, 전자의무기록(EMR), 역학조사 지원시스템 등 4종을 제안한다.

격리·치료 단계는 확진자 등을 격리하고 치료하기 위한 생활치료센터 운영, 사회적 거리두기 지침, 체외 진단기기의 긴급사용 승인 절차 등 8종을 제안한다.

특히, 역학·추적·격리 등 주요 단계별 개인정보 수집·처리 시 적법성, 안전성, 투명성 등이 보장될 수 있도록 개인정보보호 방법 및 절차 등에 대한 표준안 개발도 추진한다.

관련기사

산업부·보건복지부·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서 제3차 추경(정부안 1천635억원) 등으로 추진할 계획인 감염병 방역 관련 R&D 결과물(임상데이터, 표준물질, 시험방법 등)을 표준화해 우리 바이오산업의 혁신 역량을 강화한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K-방역모델의 국제표준화를 통해 우리나라의 글로벌 리더십을 강화하고 새로운 국제질서를 주도하는 도약의 발판으로 삼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