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 작년 5G 투자·마케팅에 전년보다 4兆 더 써

5G 시설에 8.8兆 마케팅에 8兆 총 16.8조원 투입해

방송/통신입력 :2020/02/07 16:17    수정: 2020/02/07 16:41

이동통신 3사 모두 지난해 매출을 늘리면서도 영업이익은 7~8% 감소한 실적을 내놓았다. 5G 통신 상용화로 투자와 마케팅 비용이 크게 늘어난 탓이다.

3사를 합치면 5G 투자와 마케팅에 전년보다 약 4조원를 더 쏟아부었다.

이통 3사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각각 SK텔레콤 1조1천99억원, KT 1조1천510억원, LG유플러스 6천862억원있다다. 이전 해와 비교해 7.6%, 8.8%, 7.4% 등 일제히 감소한 수치다.

그러나 요금이 비산 5G 가입자 증가에 따라 무선 서비스 매출은 모두 반등세를 보였고 가입자당평균매출도 높아졌다. 매출은 모두 한자릿수의 증가세를 보이면서 성장 가능성을 분명히 보였지만 5G 통신 첫 해의 급증한 비용 탓에 수익성은 나빠진 것.

사진 = 이미지투데이

통신사 한 관계자는 “대규모 장치산업 특성에 따라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면 전국망이 구축되기 전까지 수익성의 하락은 불가피하다”며 “기간망 등의 네트워크 장비 유지 보수가 지속되면서 가입자망을 추가로 구축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투자비용의 통제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통 3사가 지난 1년 간 설비투자에 집행한 금액은 총 8조8천억원에 이른다. 2018년 3사의 설비투자 규모 5조5천억원 가량과 비교해 3조3천억원이 추가로 투입된 셈이다. 또 3사 영업이익 총합이 2조9천500억원인 점을 고려하면 수익의 3배를 투자한 것이다.

설비투자와 함께 5G 상용화로 마케팅 비용도 급격히 증가했다.

SK텔레콤은 전년보다 5.5% 늘어난 3조700억원, KT는 전년보다 18.4% 증가한 2조7천382억원, LG유플러스는 전년 대비 8.7% 늘어난 2조2천460억을 마케팅 비용으로 집행했다.

5G 가입자를 유치하기 위한 경쟁이 심화되면서 5G 상용화 이전 해보다 전체적으로 약 7천650억원 가량이 마케팅에 추가로 투입됐다.

관련기사

매출 반등세를 기록하고 있는 통신 서비스를 비롯해 미디어 사업의 지속적인 성장에도 설비투자와 마케팅에 이전해보다 약 4조원이 추가로 투입되면서 수익성 악화는 막지 못했다는 뜻이다.

통신업계 한 관계자는 “기술 세대 전환 시기에 비용이 늘어나는 점은 피할 수 없지만 5G 통신 도입 초기에 그렸던 청사진이 현실화된다면 모든 산업에 적용되는 국가적 인프라 역할을 맡아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