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가 OTT의 정답이 아니다. 주식 시장에서는 넷플릭스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심이 커지고 있다.”
19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4차산업혁명 페스티벌’에 발표자로 나선 김용희 숭실대학교 교수는 이같이 말했다.
김용희 교수는 국내외 OTT 현황을 설명하며 콘텐츠(C)·플랫폼(P)·네트워크(N) 등 세 가지 요소가 파괴적으로 합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과거에는 콘텐츠를 제작해 플랫폼에 제공하는 수직적인 구조였지만, 미디어 기업 간 인수·합병 움직임이 본격화되면서 콘텐츠와 플랫폼, 네트워크가 수평적 형태로 재편되고 있다는 뜻이다.
넷플릭스에 대한 의심은 이 지점에서 시작된다. 플랫폼 사업자인 넷플릭스가 콘텐츠 수급에 막대한 비용을 지출하면서 순수익이 급감하고 있다는 점 때문이다. 김 교수는 “넷플릭스는 콘텐츠를 사기 위해 벌어들이는 돈의 대부분을 태우고 있다”며 “주식시장을 보면 넷플릭스의 분기별 기업 가치는 점차 하락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넷플릭스의 대항마로 주목받고 있는 ‘디즈니’는 경쟁력이 있다고 내다봤다. 김 교수는 “디즈니는 전통적인 콘텐츠 제작 기업으로, 디즈니가 OTT인 ‘디즈니플러스’로 플랫폼 시장에 뛰어들겠다고 선언한 순간 주식시장의 반응이 넷플릭스를 역전했다”며 “디즈니는 압도적인 콘텐츠 영향으로 넷플릭스보다 글로벌 경쟁력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넷플릭스와 디즈니가 치열한 다툼을 벌이는 사이 ‘토종 OTT’라는 타이틀을 내걸고 나온 SK텔레콤과 지상파 3사의 ‘웨이브’에 대해서도 아쉬움을 드러냈다. 김 교수는 “웨이브는 네트워크 부문 최강자인 SK텔레콤이 ARPU를 높이기 위한 미션으로 플랫폼을 점령하기 위해 시작한 것”이라며 “콘텐츠가 부족하기 때문에 지상파 3사와 손잡고 웨이브를 만들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웨이브가 투자를 유치하고 오리지널 콘텐츠에 첨단 기술을 도입하겠다는 목표를 내놨는데 적절한지 의문이 든다”며 “웨이브의 가격과 콘텐츠를 비교하면 어느 부분에서도 경쟁력이 있다고 말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OTT 서비스 '옥수수', 12월30일 서비스 종료2019.12.19
- KT 신규 OTT ‘시즌’, 넷플릭스 대항마 될 수 있을까2019.12.19
- KT, 화질 제한 없앤 신규 OTT 서비스 ‘시즌’ 출시2019.12.19
- 디즈니 OTT 시범운영 기간 인기작은 '마블·스타워즈'2019.12.19
이에 김 교수는 OTT 시장의 해법으로 ‘새로운 플랫폼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4차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플랫폼에도 커다란 변화가 예상되므로, 단순한 콘텐츠 강화를 넘어 기술을 넘는 플랫폼 전략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김 교수는 “기존 OTT가 케이블TV나 IPTV를 확장하는 전략이었다면, 미래 OTT는 기술을 넘는 플랫폼 전략을 세워야 한다”며 “미래에는 자율주행차 등 새로운 형태의 디바이스가 등장할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변화에 맞춰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