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B, 'UHD·AR·VR' 서비스 도입 시간 빨라진다

다파장 유선 가입자망 가상화 기술 시연 성공…장애 감지·신속한 복구 가능

방송/통신입력 :2019/11/25 09:06

SK브로드밴드(대표 박정호)가 하드웨어 장비를 소프트웨어 형태로 변환해 서버에 설치할 수 있는 ‘다파장 유선 가입자망 가상화 기술’을 개발하고 시연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SK텔레콤의 5GX랩스, 노키아와 함께 개발한 이 기술은 회선당 용량을 최대 40Gbps까지 늘리기 위해 필요한 핵심 기술인 여러 개의 파장 관리에 대한 가상화를 개발해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이 기술을 도입하면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장비 제어가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8K UHD 영상서비스·AR·VR 등 대용량 대역폭이 필요한 신규 서비스 도입에 걸리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SK브로드밴드가 다파장 유선 가입자망 가상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사진=SK브로드밴드)

회선 절체 기능과 파장 관리 기능을 통해 부품의 고장이나 케이블 단절 같은 장애를 빠르게 감지하고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관련기사

SK브로드밴드는 이번 기술을 실제 가입자에게 적용해 효용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아울러 국제 기술 포럼에 기술을 공개하는 등 활동도 추진할 계획이다.

박찬웅 SK브로드밴드 인프라 부문장은 “유선 가입자망 가상화는 유무선 망이 통합되는 시대에서 고객 경험 차별화와 효율적 네트워크 운용을 위한 핵심 기술”이라며 “네트워크 가상화에 필요한 기술을 국내 중소기업들과 함께 개발하는 등 향후 글로벌 시장 진출 및 기술 역량 확대를 통해 관련 생태계 조성에도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