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SAT, 위성으로 5G 데이터 전송 성공

KT융합기술원과 위성 5G 하이브리드 전송·5G 엣지 클라우드 기술 시연

방송/통신입력 :2019/11/24 09:33    수정: 2019/11/24 09:36

KT SAT(대표 한원식)이 위성을 이용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위성 5G’ 기술 시험에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KT SAT은 이번 시험에서 KT 융합기술원과 함께 ▲위성 5G 하이브리드 전송 ▲위성 통신 링크(백홀)를 이용한 ‘5G 엣지 클라우드’ 미디어 기술을 구현했다.

‘위성 5G 하이브리드 전송’은 완전히 다른 네트워크를 하나로 묶는 통신 규칙(프로토콜)을 이용해 기존 5G 서비스보다 신뢰

도 높은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이번 시연에서 KT SAT은 이 기술로 5G가 강제로 끊기는 상황을 연출해 5G 네트워크 없이 무궁화 위성 6호 만으로 정상적인 서비스를 유지했다.

KT SAT, KT융합기술원의 5G 분야 연구원들이 KT연구개발센터에서 위성 5G 시험 결과를 확인하고 있다.(사진=KT)

만약 5G 기반의 자동화된 농기계나 차량이 이동 중 5G 커버리지가 닿지 않거나 재해재난이 발생해 네트워크가 끊긴다면 위성 5G 하이브리드 전송 기술이 네트워크의 연결성을 지속해서 확보해주는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위성 통신 링크를 이용한 5G 엣지 클라우드 미디어 전송’은 5G 엣지 클라우드를 통해 제공되는 CDN(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의 영상 전송 서비스를 위성 통신과 접목한 기술이다. KT SAT은 이 기술을 이용해 금산 위성센터에 있는 실시간 스트리밍 데이터와 카메라 중계 영상을 무궁화 위성 6호로 우면동 KT연구개발센터의 5G 엣지 클라우드에 전송해 다수의 5G 단말로 끊김 없이 송출하는 데 성공했다.

일반적인 위성 통신 기술로는 일정 주파수 자원(대역폭)으로 HD급 영상을 하나의 스마트폰으로만 전송 전송할 수 있지만, 이 기술을 이용하면 같은 자원을 가지고 5G 엣지 클라우드 접속된 모든 단말에 콘텐츠를 동시 전송할 수 있다.

KT SAT은 이번에 시험에 성공한 두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상대적으로 낮은 속도의 위성 통신도 더 빠르고 끊김 없는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고 통신 환경이 열악한 국가에서도 많은 이용자가 보다 고품질의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기사

KT SAT은 이번 시험 결과를 KT융합기술원과 함께 2020년 상반기 중 ‘국제 민간표준화기구(3GPP)’에 개진할 방침이다. 위성 5G는 2018년부터 국제민간표준화기구 릴리즈 16의 연구 과제 중 하나다.

KT SAT 대표이사 한원식 사장은 “위성과 5G를 연동하는 기술은 향후 지역 간 격차 없는 통신 환경을 조성하고 끊김 없는 통신이 중요한 재난?비상 통신 및 콘텐츠 시장 등에서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라며 “KT와 지속적인 기술 교류로 글로벌 기술 표준화를 이루고 고객들에게 실제 서비스 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