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수출 14.7% 감소한 467억8천만달러…11개월째 하락

수입도 14.6% 감소…무역수지 53억9천만달러 93개월 연속 흑자

디지털경제입력 :2019/11/01 10:13    수정: 2019/11/01 13:25

미중 무역분쟁과 반도체, 디스플레이 수요부진으로 우리 수출 감소세가 11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미중 무역분쟁과 반도체, 디스플레이 수요부진으로 우리 수출 감소세가 11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수요부진으로 10월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7% 줄어든 467억8천만달러를 기록, 11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수출 감소폭은 올 들어 가장 컸다. 수입은 14.6% 감소한 413억9천만달러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는 53억9천만달러로 93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10월 수출입 실적(통관기준 잠정치)에 따르면 반도체·디스플레이·석유화학·석유제품 수출이 줄어들어 지난해 12월부터 시작한 감소세가 11개월째 이어졌다.

반도체 수출 감소폭이 전년 동기 대비 32.1%로 가장 컸고 석유제품(26.2% 감소), 석유화학(22.6% 감소), 디스플레이(22.5% 감소), 일반기계(12.1% 감소), 철강(11.8% 감소) 분야가 부진했다.

반면에 지난해 같은 달보다 25.7% 증가한 선박을 비롯해 화장품(9.2% 증가), 바이오헬스(7.8% 증가), 컴퓨터(7.7% 증가) 등 새로운 수출성장품목은 호조세를 유지했다.

산업부는 10월 수출은 지난해 10월 기저효과 영향으로 올해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으나 수출액은 올해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고 밝혔다.

10월 하루 평균 수출은 20억3천만달러로 2개월 연속 20억달러를 웃돌았다.

관련기사

10월 무역수지도 53억9천만달러로 올 들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2010년 2월 흑자 전환 이후 93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국가별로는 미중 무역 분쟁 심화로 중국과 미국 수출이 각각 16.9%와 8.4% 감소했다. 1월부터 10월 누적으로는 대비 수출이 성장세(2.2%)를 보이고 있고 베트남(0.6%)·CIS(24.1%) 등 신흥 시장 수출도 증가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