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1.75% 동결…"현재도 완화 범위 내"

미국 연준 속도조절했지만 금리 상승 기조 안바꿔

금융입력 :2019/02/28 15:28

한국은행은 28일 오전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열고 기준금리를 종전과 같은 수준인 연 1.75%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이 연방기금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하고 나선 가운데, 국내는 조급하게 추가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거나 더욱 내리진 않을 방침이다.

이날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금통위 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금리를 낮춰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국내 경제성장률은 1월 전망에 벗어나지 않을 것이며 성장 전망과 금융 안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어 기준금리 인하를 검토할 단계는 아니다"며 "현재 기준금리도 여전히 완화적인 범위 내에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뉴스1)

2017년 11월 기준금리를 한 차례 (0.25%p) 올렸지만 시점이 늦었다는 일부 비판에 대해 이주열 총재는 "경기 정점과 저점만 갖고 당시 통화정책이 적절했는지 평가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답했다. 이어 그는 "한은은 2017년 11월과 2018년 11월 기준금리를 두 차례 올렸다"며 "잠재 성장 수준 흐름이 이어지고 물가상승률이 목표치에 근접한 상황에서 금융불균형 흐름에 대응할 필요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정"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통계청장은 경기동행지수가 2017년 2분기에 정점을 찍었다는 점을 근거로 금리 인상 시기가 늦어졌다는 우회적 비판을 한 바 있다. 이에 대해서도 이주열 총재는 "2017년 2분기가 정점이라고 하더라도 성장세는 정점에서 횡보하는 모습이었다"며 "기준금리 결정은 경기지표뿐 아니라 거시 경제 금융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올해 들어 미국 연준이 금리 완화 선호(비둘기파·도비시) 성향을 보임에 따라 한은의 기준금리 방향에도 시장 관심이 쏠리고 있는 상황. 이주열 총재는 이를 부인하지 않았다. 이 총재는 "미국 연준이라던가 유럽중앙은행 등 주요국 통화정책은 글로벌 금융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커서 (통화정책 결정 시) 분명한 고려요인"이라고 답변했다.

관련기사

이 총재는 "최근 연준과 유럽중앙은행이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 조절을 강하게 시사했다"며 "국내 통화정책 측면에서도 자본유출 경기 둔화 우려가 완화되면서 정책 운영상 부담이 다소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하지만 이주열 총재는 금리 상승기의 종언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가장 글로벌 경제 영향력이 큰 미 연준을 보면 금리 정책 방향이 바뀐 게 아니고 기본적으로는 정상화 기조 자체, 다시 말해서 금리 인상 방향 자체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통화정책은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가 우리에게 영향을 줄지 점검하고 계속 입수되는 지표 분석해 가면서 통화정책을 운영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