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85초만에 ADAS 검사하는 로봇 공개

세계 최초 5가지 ADAS 시스템, HUD 검사 가능

카테크입력 :2018/11/21 09:05    수정: 2018/11/21 11:18

현대기아차가 85초만에 주요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사양들을 검사할 수 있는 전장 집중검사 시스템 로봇을 21일 공개했다.

현대기아차가 공개한 로봇은 업계 세계 최초로 단일 공정에서 전방 충돌방지 보조(FCA : Forward Collision-avoidance Assist), 차로 이탈방지 보조(LKA : Lane Keeping Assist), 후측방 충돌방지 보조(BCA : Blind-spot Collision-avoidance Assist),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 : Smart Cruise Control), 서라운드 뷰 모니터(SVM : Surround View Monitor) 등 5가지 ADAS 관련 장치와 전방 주행 정보 표시 장치(HUD : Head Up Display)등 총 6가지를 검사할 수 있다.

그동안 현대기아차를 포함한 대부분의 완성차 업체들은 다양한 공장에서 각 ADAS 기능을 검사해왔다. 이는 생산 효율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현대기아차는 해당 기술을 활용해 검사 자동화를 강화함으로써 품질 신뢰성을 높이고 생산성을 한층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해당 시스템은 제조기술 부문의 연구를 담당하는 생산기술개발센터에서 선행 개발 및 적용되고 일부 연구 결과는 현대자동차 울산공장과 미국 앨라배마공장, 기아자동차 소하리공장과 미국 조지아공장 등에 우선 적용할 예정이다.

현대기아차가 자체개발한 로봇이 기아차 더 K9 ADAS 기능을 검사하고 있다. (사진=현대기아차)

또 현대기아차 서비스센터에도 확대 적용해 ADAS 전장부품에 검사 활용함으로써 서비스의 질적 향상뿐만 아니라 서비스 시간단축을 통해 고객들의 편의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해당 기술을 통해 생산과정에서 부품의 신뢰성을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어 ADAS에 사용되는 레이더, 센서, 카메라 등을 생산하는 부품 협력사의 품질 향상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현대기아차는 2015년 생산개발본부 내 생산기술 연구 전문 조직인 생산기술개발센터를 신설하고 스마트 팩토리, 자율주행, 인공지능, 로봇 및 전동화 차량 관련 제조 신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품질, 생산성 및 수익성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