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유엔 세계관광기구 포럼서 빅데이터 기술 발표

통신사 빅데이터 기반 관광인구 분석하는 로직과 솔루션 발표

방송/통신입력 :2018/10/29 09:32

KT(대표 황창규)는 중국 계림에서 진행된 '12차 유엔 세계관광기구·태평양 지역 관광 협회 관광 트렌드와 전망 포럼'에 한국 대표로 참석해 관광 데이터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에 대해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유엔 세계관광기구(UNWTO) 주관으로 진행된 이번 포럼은 세계 관광 관련 정부, 공사, 학계, 업계 관계자 1천여명이 참가했다. KT는 한국관광공사의 추천으로 UNWTO로부터 이번 포럼 참석을 공식으로 요청받았다.

KT는 '관광을 위한 미래기술'이라는 주제로 키노트 세션 발표를 담당했다.

KT는 통신사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관광객 수를 분석해내는 로직과 KT가 자체 개발한 관광 분석 솔루션, 이를 활용해 한국관광공사 등 다양한 단체와 협업하고 있는 사례 등에 관해 발표했다.

KT 외에도 많은 국가기관들과 글로벌 기업들이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인 인공지능(AI) 등 정보통신기술(ICT) 기술을 관광 산업에 접목한 많은 사례들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KT는 일반적으로 통신사들은 통화기록으로 유동인구를 분석하지만 KT의 경우 휴대폰과 기지국이 평균 5분 단위로 신호를 주고받을 때 수집되는 LTE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한다고 설명했다.

KT는 휴대폰 이용자의 움직임 패턴에 따라 상주인구와 비상주인구로 분류하고 비상주인구의 관광지 방문 횟수와 체류시간을 고려해 관광인구를 파악한다고 발표했다.

또 KT는 신뢰성 있는 관광인구 측정을 위해 관광지 영역 또한 정교하게 설정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KT는 기존 기지국 커버리지를 생성해 기지국간 관광인구 이동패턴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연관된 기지국 그룹일 기준으로 최적의 관광 범위를 확정한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KT는 관광 분석 솔루션 '트립'을 발표했다. 트립은 KT의 통신데이터와 BC카드의 결제 데이터를 이용해 관광지, 축제 기간별로 관광객의 방문현황, 관광객의 특성, 체류 기간 등을 분석할 수 있다.

관련기사

KT는 현재 문화체육관광부를 비롯해서 한국 전체 지방자치단체의 20%가 KT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해 관광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혜정 KT 빅데이터사업지원단 상무는 "이번 유엔 세계관광기구 포럼을 통해 KT의 빅데이터 기술력을 해외에 소개함으로써 관광 빅데이터 분야의 글로벌 진출을 기대한다"며 "KT는 이를 기반으로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