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지자체, 환경오염 해결 출연연 기술 투입

사업 착수 후 2~3년 간 총 290억 투입

과학입력 :2018/10/14 12:00

폐플라스틱 등 환경오염, 도심산업단지 내 복합 악취, 축산농가 악취, 낙동강 녹조로 인한 식수원 오염 등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협업한다.

과기정통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14일 지역 현안 해결형 국민생활연구 선도 사업을 추진할 4개 컨소시엄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의 목적은 정부 출연 연구기관과 지자체가 컨소시엄을 이뤄 주민 삶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함께 발굴하는 것이다. 과학기술적 해결을 위해 연구기획 단계부터 기술 개발, 성과의 적용 확산까지 전 주기적으로 협업하게 된다. 과기정통부와 지자체가 재원을 각각 220억원, 70억원씩 분담해 추진된다.

과기정통부는 사업 착수 후 2~3년간 220억원을 투입, 2개 이상 출연연이 기술 융합을 통해 문제 해결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동시에 지자체, 지역 기업, 공공기관 등이 함께 지역 단위 실증을 병행 추진한다.

이후 1년간은 지자체가 직접 재원을 투입해 공공 서비스 제공, 공공 구매 등 개발 기술의 현장 적용과 지역 기업에의 기술 이전 등 성과 확산에 나선다. 필요 시에는 조례규칙 개정 등 제도 개선도 병행한다.

과기정통부는 그 동안 지자체로부터 해결이 시급한 현안 수요 62개를 접수했다. 매칭데이를 통해 현안 해결에 필요한 기술을 보유한 정부 출연연과 지자체의 컨소시엄 구성도 지원했다.

이어 지자체-출연연 컨소시엄 주도로 마련한 기술 개발 계획과 지역 내 실증, 지자체의 현장 적용을 통한 문제 해결 의지를 평가해 최종 4개의 지자체-출연연 컨소시엄을 선정한 것.

관련기사

과기정통부는 국민생활연구 지원센터를 국가과학기술연구회 내에 설치, 지자체-출연연 컨소시엄을 밀착 지원한다.

정병선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은 “이번 국민생활연구 선도사업은 지자체와 출연연이 문제 해결을 위해 기술 개발부터 현장 적용까지 전 주기 협업하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며 "국민이 성과를 조기에 체감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사업 추진을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