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우체통 습득물, 현금만 20억원 달해

"분실물 처리에 우체국 직원 업무 과중" 시스템 구축 제안

방송/통신입력 :2018/09/09 09:49    수정: 2018/09/09 10:58

최근 5년간 우체통에서 발견된 현금은 20억원에 달하고, 금액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상직 자유한국당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경찰서로 송부된 현금은 접수 후 9개월이 지나도 주인이 나타나지 않으면 국고로 귀속되고 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우체통에서 발견된 습득물은 모두 754만개였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카드가 401만8천419개로 가장 많았다. ▲유가품, 운전면허증 등 기타 품목이 155만3천570개 ▲주민등록증이 117만1천798개 ▲지갑 81만3천55개 순이었다.

분실물 발견 시 지갑과 카드 등은 경찰서에, 주민등록증은 지자체에 송부해 주인에게 돌려주고 있다. 분실자가 직접 우체국에 방문해 물품을 찾아가는 경우도 있다.

이에 따라 지갑, 카드, 주민등록증 등 약 659만여개의 물품이 경찰서에 송부됐다. 34만4천127개는 분실자에게 직접 교부됐다. 61만9천246개의 주민등록증은 지자체에 송부됐다.

관련기사

우정사업본부는 수거한 분실 휴대폰을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로 송부해 주인을 찾아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5년간 19만4천658대의 휴대폰이 수거돼 10만5천471개가 KAIT를 통해 분실자에게 돌아갔다.

윤상직 의원은 "분실물 수거, 분류, 발송 등 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우체국 직원은 업무과중과 더불어 본연의 업무에 막대한 지장을 받고 있다"며 "관계기관과의 협조를 통해 우체국 직원의 업무 과중을 줄이고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분실물 처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