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한국 애저 VM 절반이 리눅스"

컴퓨팅입력 :2018/01/19 14:39

한국마이크로소프트는 19일 미디어 브리핑 세션을 통해 지난 10년간 오픈소스 지원을 통한 성과와 한국 스타트업 사례를 소개했다.

이날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사 클라우드 플랫폼인 애저에서 구동되는 가상머신(VM) 40%가 리눅스 기반이며, 한국 시장 수치는 50%에 달한다고 밝혔다. 애저 마켓플레이스 앱 이미지의 80% 이상 또한 리눅스 기반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그동안 리눅스 OS 커널에 2만 줄의 코드를 기여했고, 깃허브에 6억 줄 이상의 오픈소스 코드를 올렸다. 하둡, H베이스(Hbase), 도커(Docker), 노드JS 등 400개 이상의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애저에서 단순한 호환성을 넘어 연속성을 지원해, 사용하는 소스를 그대로 활용해 개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더불어 지난 10여년 간 보다 포괄적인 개발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오픈소스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다방면에서 오픈소스 생태계를 지원해온 발자취를 소개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2015년 사티아 나델라 CEO 가 ‘마이크로소프트는 리눅스를 사랑한다’고 발표한 이후 더욱 적극적으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OSS) 생태계를 지원해왔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오픈소스 사랑은 국내 시장에도 뿌리를 내리고 있다.

자동차 외장수리 견적비교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닥(cardoc)’은 자동차 수리 부위 판별 시스템에 인공지능(AI)을 애저 기반으로 구동하고 있다. 고객이 손상된 차량 부위의 사진을 카닥 앱에 올리면, 인공지능이 수십만장 이상의 이미지를 분석해서 만들어진 모델을 기반으로 손상된 부위와 위치를 파악, 이를 바탕으로 견적을 자동으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업무를 줄이고 고객에게는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카닥은 현재 100만 장 이상의 사진 데이터 베이스를 보유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 전문 기업 ‘글로스퍼(Glosfer)’도 오픈소스 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글로스퍼는 블록체인 오픈소스 플랫폼인 ‘팩커스(Packuth)’를 기업, 지자체 프로젝트에 적용하고 있다. 일반 개발자들도 손 쉽게 블록체인 기술을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어 총소유비용(TCO)을 낮출 수 있는 것이 장점이며 애저 기반에서 서비스를 늘려나가고 있다. 현재 서울시 노원구가 팩커스를 활용해 지역 화폐 사업을 추진 중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애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는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다.

개발자들은 필요에 따라 ‘MySQL’ 및 ‘포스트그레SQL’ 등과 같은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을 활용할 수 있다. 오픈수세(openSUSE) 및 레드햇이 후원하는 커뮤니티 기반 오픈소스 운영체제 ‘페도라’ 등을 통해 애저 상에서 오픈소스 운영체제를 구동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마리아DB 재단, 오픈소스 서비스형 플랫폼(PaaS)인 클라우드 파운드리, 이더리움 기반 블록체인 연구공동체 EEA 등과 같은 다양한 기업 및 조직과 파트너십을 맺고 오픈소스 행보를 이어나가고 있다.

관련기사

한국마이크로소프트 오픈소스 전략 총괄 최주열 이사는 “마이크로소프트는 클라우드 성장세에 힘입어 보다 탄탄한 오픈소스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며 “개발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클라우드 기업은 개발자들에 의한 그리고 개발자들을 위한 도구와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마이크로소프트는 앞으로 더욱 탄탄한 개발 환경으로 개발자들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