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LTE보다 10배 빠른 트래픽 처리 '5G 기술' 개발

초당 처리 용량 20Gb → 200Gb… 가상화로 서버만 증설하면 테라비트도 가능해

방송/통신입력 :2017/11/07 11:35

SK텔레콤(대표 박정호)이 LTE 대비 10배의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는 5G 네트워크 장비의 핵심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SK텔레콤이 개발한 기술을 활용하면 5G도입시 패킷 교환기에서 초고속으로 대용량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다. 패킷 교환기는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에서 발생하는 모든 음성과 데이터 트래픽이 인터넷 망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거쳐야하는 관문이다.

회사 측은 5G 상용화를 앞두고 해당 기술 개발을 통해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무선 트래픽을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예컨데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하이패스를 이용해 정체를 없앨 수 있는 것 처럼 이번에 개발된 기술을 도입하면 기존 LTE 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무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기존 LTE 패킷 교환기가 처리 가능한 용량은 서버 별 초당 20Gb(기가비트)였지만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사용하면 동일한 용량의 서버에서 초당 200Gb를 처리할 수 있다. 또, 가상화 기술을 적용해 서버만 증설하면 초당 처리 용량이 테라비트(Terabit)급으로 확장될 수 있다. 테라비트급 패킷 교환기 개발은 이번이 세계 최초다.

또, 이 기술을 활용하면 패킷 교환기를 소형화 할 수 있어 기지국 등으로 분산이 가능해지며 따라서 보다 많은 용량을 초저지연 속도로 서비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SK텔레콤은 이번 기술적 성과를 3GPP와 유럽 통신 표준 협회 (ETSI)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NFV) 산업 규격 그룹 (ISG)에 제안해 국제 표준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초고속 패킷 처리 기술 개발을 통해5G 상용화를 보다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진효 SK텔레콤 네트워크 기술원장은 “다양한 5G 서비스를 고품질로 빠르게 제공하려면 데이터를 초고속으로 처리하는 패킷 처리 기술은 필수적”이라며 “가상화 기반 고성능 장비를 개발했다는 점에서 5G 조기 상용화를 위한 의미 있는 성과”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