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범 LGD "中 공장 설립 추진돼야…대안 없어"

OLED 투자 제동 거는 정부에 답답함 호소 "기술 유출 없을 것"

반도체ㆍ디스플레이입력 :2017/09/27 07:19    수정: 2017/09/27 09:25

"대안이라고 해봤자 기존 8.5세대 액정표시장치(LCD) 공장을 전환하는 정도이지만 그마저도 힘들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투자를 하루빨리 해야 하는 데 답답한 심경이다."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부회장은 26일 서울 서초구 JW메리어트호텔서 열린 '제8회 디스플레이의 날' 기념식에서 중국 OLED 공장 설립 문제에 대해 이 같이 호소했다.

한 부회장은 정부가 중국 OLED 공장 승인을 하지 않을 경우 회사 계획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대안은 따로 없다"며 "정부는 국내 투자를 바라지만, 국내엔 따로 OLED를 투자할 부지가 없어 고민이 많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 광저우 공장에는 이미 8.5세대 LCD 생산설비가 있기 때문에 OLED 인프라를 구축하기 쉽다"며 "국내의 경우, 파주 8.5세대 LCD 공장을 전환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겠지만, 고객사들과의 계약에 따라 내년까지 생산계획이 잡혀 있어 현실적으로 힘들다"고 강조했다.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부회장. (사진=LG디스플레이)

한 부회장의 이같은 발언은 앞서 정부가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업계의 중국 진출에 제동을 거는 모습에 답답한 심정을 호소한 것으로 풀이된다.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18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서 열린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 간담회'에서 한 부회장 등에게 "중국은 대규모 투자로 LCD에서 한국을 따라잡은 전력이 있어 기술 유출 가능성이 우려된다"며 "중국에 시설투자하는 규모 이상으로 국내에 시설투자를 확대하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말한 바 있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 7월 대형 OLED 패널을 생산하기 위해 중국 광저우시 정부와 합작법인을 설립했다. 회사는 이 법인에 1조8천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그러나 LG디스플레이가 중국에 OLED 공장을 신설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승인이 필요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 별 다른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

한편, 이날 한 부회장은 "한국과 중국간 자유무역협정(FTA)상 OLED는 무관세 제품이 아니다"라고 강조하며 "적게는 5%, 많게는 15%까지 관세를 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또 "8.5세대 OLED 공장을 짓는 데만 5조7천억 원 가량이 필요하다"면서 "이 중 회사가 1조8천억 원을 충당하고, 나머지는 중국 자본서 투자가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한 부회장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는 중국 광저우 공장 승인을 위해 산업부 등 정부 관계자를 설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LG디스플레이는 특히 정부가 우려하고 있는 기술 국외 유출 가능성을 최소화하겠다는 점을 최대한 설명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