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해체되나...대기업 총수들 "탈퇴하겠다"

삼성 탈퇴 약속...구본무 "미국 헤리티지 처럼 운영돼야"

디지털경제입력 :2016/12/06 17:06    수정: 2016/12/06 18:29

대기업들이 미르-K스포츠 재단에 800억원을 출원하는 과정에서 모금책 역할을 담당했던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대한 해체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6일 국회 ‘최순실 국정농단’ 진실규명 국정조사 특위에 참석한 9개 대기업 총수들은 특위 의원들이 미르-K스포츠 재단에 뭉칫돈을 출연한 배경과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고 추궁하자 전경련에서 탈퇴하거나 운영 방식과 성격에 대해 변화가 필요하다는 취지의 답변을 내놓았다.

먼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전경련 활동을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부회장은 "개인적으로 전경련 활동을 하지 않겠다"며 “회비 납부도 중단하겠다"고 말했다. 이 부회장은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의 추궁이 계속되자 "전경련 자체에 대해서는 뭐라 말씀드릴 자격이 없지만, 개인적으로는 활동을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후 이재용 부회장을 향해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이 '전경련 탈퇴와 해체를 여기서 약속해 달라'고 요구하자 "제 입장에서 해체라는 말을 꺼내기엔 자격이 없다"면서도 "저희는 (전경련을) 탈퇴하겠다"고 답했다.

최태원 SK회장은 "시대가 변한만큼 어떤 식으로든 환골탈태가 분명히 필요한 상황"이라고 했다.

앞서 구본무 (주)LG 회장도 "전경련은 (미국의 싱트탱크)헤리티지 재단처럼 운영되고 각 기업의 친목 단체로 남아야 한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삼성을 포함한 5대 그룹이 전경련에 내는 연간 회비는 전체 운영비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약 200억원 규모다.

전경련은 이병철 삼성 창업자 주도로 1961년 창립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