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P대출 개인 투자한도 1천만원으로 묶인다

금융위원회, P2P 대출 가이드라인 발표

인터넷입력 :2016/11/02 14:17    수정: 2016/11/02 15:31

손경호 기자

앞으로 P2P 대출 플랫폼을 활용하는 일반 투자자는 1개 플랫폼에 연간 최대 1천만원까지 누적 투자할 수 있다. 또 P2P 플랫폼 회사들은 투자금을 은행과 같이 공신력 있는 기관에 맡겨야 하고 투자자 동의 없이 임의로 사용할 수 없게 됐다.

2일 금융위원회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P2P대출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그동안 법으로 엄격히 관리됐던 '투자형 크라우드펀딩'에 비해 별다른 투자자 보호 방안이 마련되지 않았다고 지적받아 온 P2P대출 분야에 대해 금융위는 투자한도을 설정하고, 고객자산을 분리관리하도록 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먼저 일반 개인의 경우 투자한도가 연간 1개 P2P 플랫폼에 대해 누적금액 1천만원으로 제한된다.

투자자가 플랫폼을 통해 한 명의 대출자에게 빌려줄 수 있는 자금의 한도는 500만원이다. 다만 소득요건을 갖춘 개인투자자는 연간 누적금액 4천만원까지 투자할 수 있으며, 1명 대출자에게 최대 2천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대신 법인투자자, 전문투자자는 투자 위험에 대한 관리 능력이 있다고 판단해 별다른 투자한도 제한이 없다.

또 P2P대출 플랫폼은 임의로 투자금을 쓰지 못하게 된다.

금융위 서민금융과 하주식 과장은 "P2P 대출 플랫폼 회사는 자사 고유 계좌와 투자금을 예치하는 가상계좌를 분리해서 운영해왔으나 해당 회사가 임의로 투자금을 운용할 수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며 "가이드라인은 P2P대출 플랫폼이 반드시 투자자 동의를 받는 경우에만 투자금을 운용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투자금 자체를 은행 등과 같은 제3의 기관에 예치하도록 할 계획"이라며 "현재 한국P2P금융협회와 함께 구체적인 방안을 협의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더해 투자자가 투자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P2P대출 플랫폼에게 대출자나 해당 회사에 대한 공시의무를 부과했다. 대출자의 신용도나 자산 및 부채 현황, 연체기록 등을 투자자에게 제공하고, P2P대출 플랫폼의 거래구조, 누적 대출액, 대출잔액, 연체율 등도 매월 자사 웹사이트에 공시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부동산 등 담보대출에 대해서는 별도 한도를 두지 않되 담보물에 대한 정보를 공개토록 했다. 대출자의 경우에도 자신이 갚아야 하는 대출금과 이자 및 수수료 등을 명확히 제공토록 했다. 이와 관련 금융위는 한국P2P금융협회와 표준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금융위는 이 같은 내용이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P2P플랫폼과 연계된 금융사에게 가이드라인 준수여부를 확인한다. 현재 일부를 제외한 P2P플랫폼은 100% 지분을 투자한 자회사 형태의 대부업체를 두고 서비스 하는 중이다. 일부 플랫폼은 시중은행, 저축은행과 연계해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가이드라인은 P2P플랫폼의 대부업 자회사를 금융당국에 등록시켜 관리감독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현재는 해당 대부업 자회사들은 소규모라 금융위 등록 대상에서 제외되고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해왔다.

하 과장은 "대부업법 시행령을 개정해 P2P대출 플랫폼과 연계한 대부업체를 금융위 등록 대상으로 규정하되 기존 대부업체와 달리 자기자본 대비 10배 이상 투자를 집행하지 못하도록 돼있는 규제를 완화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